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okyo
도꾜
동경
토쿄
d라이브러리
"
도쿄
"(으)로 총 4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04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논문 출판 횟수에서도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도쿄
와 런던은 논문 출판 수에서 1, 2위를 다투고 있고(2006~2008년), 베이징은 아직 세계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그런데 기록을 보니 아쉽다. 한국의 과학도시는 순위에 없는 걸까.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04
종류의 무차별 독극물 테러는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995년 3월 20일 오전 출근시간, 일본
도쿄
의 혼잡한 지하철 내에 맹독성의 사린가스가 유포되어 12명이 사망하고 500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엄청난 사건이 발생, 일본뿐 아니라 전세계가 경악했다. 게다가 이 사건이 사이비종교단체인 옴진리교의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03
배치해 원하는 구조로 신경망을 만들 수 있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지난해 10월 일본
도쿄
대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팀은 ‘극소형 화학·생명과학 분석시스템 국제학술회의’에서 작은 판에 뉴런 하나를 붙인 뒤 뉴런의 축색돌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라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03
대학을 떠난 뒤에는 정부 산하 항공기술 연구소가 실권을 갖게 됐지만 우주개발 초기
도쿄
대학의 공헌은 높게 평가 받고 있습니다." 1999년 이토가와 박사는 사망했다. 일본 과학자들은 그의 공을 기려 2003년 발견된 소행성 25143을 ‘이토가와 소행성’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2010년에 ‘하야부사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알려 드릴게요. 우린 물속에서 사냥을 하다가 밖으로 나오는 시간이 항상 비슷해요. 일본
도쿄
대학교 연구팀은 우리가 얼마나 날개를 퍼덕였는지 판단해 물 밖으로 나온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날개로 헤엄치다 힘들 때 나온다는 얘기예요. 우리는 평균 5.7분, 날개를 237번 흔들고 나오거든요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1
술이었는데요. 전쟁 중에 공장이 망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어요. 그런데 1996년
도쿄
대 과학자들이 잠들어 있는 우사기의 영혼을 흔들어 깨웠습니다! 이 술을 만들 때 사용했던 곰팡이인 흑국균(Aspergillus niger)으로 우사기를 복원한 거예요.”와~, 곰팡이 덕분에 격동의 세월을 지나 50년 만에 전통을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01
109편이다. 대학교에서 발표한 전체 SCI 논문 대비 상위 1% 논문 비중이 1.64%로 1.58%인 일본
도쿄
대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주저자로 참여한 논문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도 포스텍 김기문 교수의 2000년 ‘네이처’ 논문으로 총 1656회 인용된 바 있다. 단순한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 ...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진행 중'
과학동아
l
201111
일본 정부가 정한 대피 기준인 20mSv(밀리시버트. μSv의 1000배)를 훌쩍 뛰어넘는다. 17일
도쿄
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을 환산하면 21mSv, 치바 현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은 31mSv에 이른다. 때문에 일부에서는 수도 인근까지 방사능 오염이 심각해진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방사능 전문가들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10
인간단백질기초사업의 의장인 백융기 교수(왼쪽). 오른쪽은 도시히데 니시무라 일본
도쿄
대 교수.]24개 염색체 먼저 잡아라“1번 염색체는 중국이 맡겠습니다.”중국 베이징대의 푸추 허 교수는 “중국에서는 해마다 약 35만 명이 간암에 걸린다”며 “전 세계 간암 환자의 절반을 넘는 수치”라고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10
양자역학 자체가 잘못된 이론체계로 판명될 가능성은 적다는 뜻이다. 무라오 미오 일본
도쿄
대 물리학과 교수(나노양자정보전자연구소 교수)는 “양자역학에 오류가 있는지 실험을 통해 수없이 검증해 봤지만 양자역학과 일치하는 실험결과가 나오고 있다”며 “미시적인 계에서는 양자역학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