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
찬동
동조
승낙
승인
계약
수긍
d라이브러리
"
동의
"(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08
아닐까 생각하게 한다.하지만 초대칭입자가 암흑물질일 가능성에 대해 모든 학자가
동의
하는 것은 아니다.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WIMP는 아주 큰 규모의 우주 구조는 잘 설명하지만, 은하 등 수십KPC(킬로파섹. 1KPC=3260광년) 규모의 구조는 설명하지 못한다”며 “초대칭 입자가 아닌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07
서둘러 주차장을 향해 가기로 했다. 꽤 먼길일 텐데. 서쪽으로 가야 해. 그래 서쪽. 모두
동의
하였다. 그런데 어느 쪽이 서쪽이냐? 바보들아. 지금이 저녁이니, 저 하늘에 보이는 둥근 해를 향해 가면 되지 않겠니. 그래 그렇다. 그런데 갑자기 세 명의 천체물리학자에게 바보귀신이 씌웠나보다.어. ... ...
Can a Program Become a Journalist?
과학동아
l
201207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어떤 저널리즘 전문가들은 이 아이디어에
동의
하지 않는다. 직업기자 윤리위원회 회장 케빈 스미스는 이 프로그램에 대해 들었을 때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고 한다. “금요일 밤에 고등학교 미식축구 경기결과를 놓고 ‘세 문단 기사 작성 공식’을 따르던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06
넓게 파는 것보다 한 분야를 좁고 깊게 파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노 교수는 이 말에
동의
했다.“85년 박사과정 때 했던 연구를 지금도 계속 하고 있는 셈입니다. 원하는 결과가 저 멀리 있는데 그걸 넓게 파 들어가는 건 힘들어요. 집중이 필요합니다.”새로운 것을 만드는 능력을 길러라노종선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05
있으며, 이들이 독립된 다중우주를 구성한다.테그마크 교수의 분류법에 모든 학자들이
동의
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 최근 나온 ‘멀티 유니버스’의 저자인 브라이언 그린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 분류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책에 소개된 다중우주의 순서는 4단계 우주와 거의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4
달라졌다.다른 물리학자들도 팔을 걷어붙였다. 하지만 어느 연구팀도 웹의 연구팀에
동의
하는 결과를 내지 못했다. 그렇다고 틀렸다는 증거도 내놓지 못했다. 다른 연구팀의 결과가 웹 연구팀을 무너뜨리기에는 분석한 퀘이사의 수가 너무 빈약했다.웹 연구팀이 얻은 결과는 세계에서 가장 큰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02
이창환 교수는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감마선폭발을 두 타입으로 분류하는 데도
동의
하지 않고 있다”며 “초기에는 같은 메커니즘으로 시작했다가 중간에 다른 경로를 밟아 이런 패턴이 나왔다고 설명하는 가설도 있다”고 말했다.새로운 현상 속속 관측돼최근에는 새로운 감마선 분출 현상도 ... ...
친구와 함께 공부하는 힘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1202
운영한 수학영재학급은 15명 만 뽑아 연간 100시간의 활동을 하며 탐구학습(R&E)를 한다.
동의
대 교수를 초빙하거나 직접 연구실을 방문해 수업도 듣는다. 이 밖에도 매월 사랑의 장기기증캠페인 봉사활동을 한다.친구와 함께 만드는 즐거운 학교구덕고에는 ‘친한 친구 교실’이 있다. 학생부가 ... ...
예쁜 건 기본, 맛이 덤인 먹는 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그레이아노톡신이라는 독성 물질이 있어서 절대 먹으면 안 돼. 또 애기똥풀꽃, 은방울꽃,
동의
나물꽃, 삿갓나물꽃도 독성이 있어서 못 먹어. 그리고 먹을 수 있는 꽃이라도 꽃가게에서 산 장미 같은 장식용 꽃은 먹으면 안 돼. 왜냐고? 멋 내려고 키운 꽃은 보통 농약을 사용하거든. 먹을 꽃 수 있는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02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혹자는 일본의 국민성을 그 이유로 들지만, 필자는 그리
동의
하지 않는다).추종형 사람들만 따라 할래이 유형은 재난상황에서 공황발작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그저 많은 사람들이 행동하는 대로 따라한다. 사람은 주변사람들의 행동과 의견을 따르는 경향이 있는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