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본
본보기
모델
표본
자모
원형
틀거
d라이브러리
"
모형
"(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07
펴냈다. 책의 백미는 역시 항공공학자이자 설계자인 이 씨가 좌충우돌하며 비거
모형
을 복원하는 과정이다. 논증 과정이 꽤 꼼꼼하고 기발해 다큐멘터리를 보듯 흥미롭다. 예를 들어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에 대한 힌트는 우리나라 전통배의 돛에서 얻는다. 마주 오는 바람이 불 때 돛을 풍향에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
수학동아
l
201607
더하면 전에 없던 새로운 표정 행렬을 만들 수 있습니다.자연스러운 표정 돕는 확률
모형
비중벡터를 이루는 값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 새로운 표정이 나옵니다. 그런데 어떤 비중벡터로 좌표 데이터를 만들어야 원하는 표정이 나올지는 알 수 없습니다.원하는 표정이 나올 때까지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
과학동아
l
201607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르죠. 물론 GAIA 위성이 암흑물질의 증거를 발견한다면 표준
모형
너머의 물리학을 구축하는 첫 걸음이 될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엇을 찾아야 할지 집중하게 해 주는 모델을 만들고 그에 따라 실험하는 게 중요합니다. 비록 아무 신호도 못 봤다고 해도 시험한 것에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제비가 드나들 수 있도록 대문에 작은 틈을 만들거나 천적을 막아 줄 까마귀
모형
을 다는 등 적극적인 제비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답니다. 제비는 사람들이 바꾼 환경 때문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거였어. 앞으로 우리 흥부자는 제비들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가꾸기 위해 노력할거야. 뭐 꼭 박씨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7
블랙홀의 형성 과정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활동성 은하핵의 표준
모형
을 찾아라!과학의 역사가 늘 그랬듯, 천문학자들은 모든 AGN을 깔끔하게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을 세우려고 고군분투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AGN은 방출선의 폭에 따라 넓은 것은 타입1, 좁은 것은 타입2로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
수학동아
l
201606
실험했다. 특정 위치의 염기가 다른 종류의 염기로 바뀌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확률
모형
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 어떤 위치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나는지 알 수 있게 된 것이다.만약 돌연변이를 치료할 수 있다면 엑스맨들은 환영할까? 엑스맨 속 돌연변이들은 여전히 자신의 존재에 대해 고뇌하고,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06
그리고 플래닛 나인의 지름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같은 데이터를 자체 개발한 수학
모형
에 적용했다. 그 결과 플래닛 나인이 거대한 얼음행성일 거라고 추측했다. 수소와 헬륨으로 얇게 덮인 대기는 영하 226℃이며, 내부에 있는 철 핵과 규산염 맨틀로부터 열이 나온다고 밝혔다. 플래닛 나인에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강현욱 교수팀에 의해 3D프린터로 인공조직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어요.자유롭게 입체
모형
을 만들 수 있는 3D프린터가 개발된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이용해 인공조직을 만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어요. 하지만 인공조직으로 쓸 수 있는 생분해성 재료들은 강도가 약해 3D프린터로 찍어내는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
과학동아
l
201606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의 사무실에는 큰 도면과 함께 도시
모형
이 있었다. 자세히 보니 세종특별자치시의 도면이었다. 그런데 도시의 모양이 기존의 도시와는 조금 달랐다. 도시설계를 담당했던 권 교수는 “미래의 모습을 그리며 구상했다”고 말했다. 어떤 영문인지 자세히 들어봤다.권영준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06
물수제비가 몇 번이나 일어나는지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
도 만들었어요. 이 수학
모형
을 활용하면 수상스키나 웨이크보드 같은 수상 스포츠를 발전시킬 수 있어요. 공기와 물의 마찰력을 줄이고, 물에서 튕기는 탄성력을 증가시키면 더욱 스릴 있고 안전한 수상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는 얘기지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