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수성
감응성
흥분성
d라이브러리
"
반응성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5
자외선이 염료의 색을 바래게 만들거나 피부를 그을리게 하는 것이 바로 높은 화학
반응성
때문이다. 화학약품으로 글자를 지운 경우 그곳에는 화학약품의 흔적이 조금이라도 남아있게 마련이다. 바로 이곳에 자외선을 쪼이면 지워진 부분이 선명하게 드러난다.자외선은 컬러복사기나 프린터를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12
있어서 보통의 물과 거의 다르지 않지만, 정량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
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또 D₂O는 중성자를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06
대면 꼬마전구에 환하게 불이 들어온다. 그러나 차츰 흐려지기 시작한다. 알칼리 금속은
반응성
이 큰 물질이라서 단면이 빠르게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해 부도체로 변한다. 이것은 알칼리금속이 금속상태에서는 자유전자들에 의해 전하가 전달될 수 있지만, 일단 산화돼 자유전자들이 산소와 ... ...
2. 물질의
반응성
-생활 속 소재탐구
과학동아
l
199604
"옛날에 할아버지는 산에 나무하러 가고……." 많은 옛날이야기가 연료구하기부터 시작된다. 이를 봐도 우리 생활 속에 연료가 얼마나 필수적인가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연료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성분에 따라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연료가 탈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함께 알아보 ... ...
유해성 유기용제 제거하는 인공돌덩어리
과학동아
l
199603
것이 많은데, 이를 이성질체(enantiomer)라고 한다. 이성질체는 종종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반응성
이 좋은 경우가 많다. 탈리도마이드 수면제도 이성질체로서 한쪽은 인체에 매우 치명적이다. 그래서 화학자들은 원하지 않는 이성질체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페이지와 베델이 이끄는 ... ...
95 노벨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511
농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돼 있는 질소산화물은
반응성
이 강해 성층권에 도달되기 전에 이미 다 소멸돼 버리고, 실제 성층권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은 토양 내에서 미생물들에 의해 만들어진 일산화질소(${N}_{2}$O. 흔히 웃음가스로 불림)라는 것이다. ... ...
4. 마이크로·나노세계 여는 신기술들
과학동아
l
199510
흑연과 다이아몬드 결합의 중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자집합체는
반응성
이 크기 때문에 불안정한데 비해 풀러렌은 안정성이 높아, 이를 기본단위로 하여 고체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알카리 금속 원자로 도핑을 하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의 초전도체 개발이 가능하다. 안정도가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
과학동아
l
199504
반드시 반대되는 반입자(antiparticle)이 존재한다. 문제는 이들 입자와 반입자 사이의
반응성
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마치 화약과 불과의 관계에 해당한다고나 할까? 이들이 만나면 만나는 즉시 소멸(pair annihilation)되어 빛(photon)으로 변한다.그러므로 대폭발 우주 초기 어느 시기에 적당한 물리조건들이 ... ...
1 노화유전자 프로그램설 유력
과학동아
l
199502
과산화수소 슈퍼옥사이드 히드로키시래디컬 등의 활성산소가 돼 버린다.활성산소는
반응성
이 강하고 생체에 해를 미친다. 이 활성산소가 노화를 일으킨다는 것. 또한 성인병과 각종 암의 발생원인으로도 꼽히고 있다. 이 이론은 이미 1950년대 중반 미국의 덴햄 하먼이 산소 '자유기'(free radical)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11
유용한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는데 기여했다. 또한 이와 같이 강력한 탄소양이온의
반응성
을 이용해 메틸 탄소양이온(${CH}_{3}$+)과 산소(${O}_{2}$)나 오존(${O}_{3}$)분자를 반응시켜서 ${CH}_{3}$${O}_{2}$+ 등과 같은 분자의 생성과정을 연구하고 있는데, 이것은 앞으로 대기오염 연구와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