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균형
d라이브러리
"
비대칭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06
등 자성체의 강자성공명 주파수 부근의 패러데이효과에 의한 자기투과율 텐서의
비대칭
성을 이용하여 만든다 마이크로파 통신장치에서는 발진기의 출력선로에 넣어 외부 회로의 반작용을 억제할 때 등에 사용된다 플라스틱 카드에 일부 데이터 기억용의 IC를 수용한 것 자기(磁氣)카드의 100배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06
턱뼈의 성장 차이로 턱이
비대칭
적으로 자라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사실 턱이
비대칭
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치아교정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즉 교정치료를 하면 턱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간 턱을 바로 잡기 위해 교정치료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다.교정치료를 하면 치아와 잇몸이 ... ...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05
속에 정맥혈을 보낸다 이새류는 두 개, 사새류는 4개가 있다 광축(光軸)에 대해 회전
비대칭
인 비구면(非球面) 렌즈, 또는 그것을 일부에 포함하는 조합 렌즈를 말하며 상면(像面)상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배율이 서로 다른 상을 만든다 원래는 과민증(過敏症)이라는 뜻이었으나 현재는 ... ...
회전하는 달걀 공중에 뜬다
과학동아
l
200605
시모무라 교수는 “달걀이 뜨는 이유는 진동 때문”이라며 “달걀이 부분적으로
비대칭
적이고 표면이 거칠어 달걀이 회전할 때 진동이 생기는데 그 진동이 커지면 달걀이 뜬다”고 밝혔다.시모무라 교수는 4년 전 영국 케임브리지대 물리학자들과 함께 누워있는 삶은 달걀을 돌리면 회전하는 힘의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03
동서로 뻗은 길이 3,000km의 단열대 단열대의 서부에서는 가파른 면을 마주 향하고 있는 두
비대칭
산맥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서는 북쪽의 산맥이 소실되고 남쪽 산맥의 기복이 커진다 머리털자리 방향으로 약 36억 광년 위치에 있는 은하단 지름 약 2,500만 광년 속에 약 1,000 개의 은하를 볼 수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1
하늘을 날 수 있도록 발달되면서 깃털이
비대칭
모양을 이루게 되었어요. 깃털의 모양이
비대칭
이라는 것은 깃털을 뽑아서 보았을 때, 깃털의 축을 중심으로 양쪽 모양이 다른 것을 뜻해요. 그런데 깃털공룡의 깃털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 즉 양쪽의 모양이 같답니다. 그러므로 깃털공룡의 깃털은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11
일반 모뎀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비대칭
이란 용어는 수신 속도(E1:초당 2048MB 전송)와 송신 속도(6백40kbps)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사용됐다 일반 사용자가 PC통신이나 인터넷을 즐기기에는 적합하지만 송신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양방향 통신에는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10
액체의 점도가 낮다 예를 들어 물은 비교적 낮은 점도를 갖고, 식용유 등과 같이 커다란
비대칭
분자로 이루어진 유체는 높은 점도를 갖는다세계 최대 컴퓨터 통신망이면서 상호작용의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의 디지털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뉴미디어 세계 각 지역들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이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10
후 인공위성이 관측한 해수면 온도를 비교함으로써 태풍의 우측 반경에서 해수면 온도가
비대칭
적으로 더 낮아진다고 보고했다. 또 2002년 9월 태풍 ‘엘르’ 시기에 아쿠아(AQUA) 인공위성이 관측한 해수면 온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태풍의 오른쪽이 왼쪽에 비해 2℃ 이상 낮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07
전체 길이가 77cm로 가장 작은 육식공룡에 속한다. 놀랍게도 이 공룡의 뒷다리에는 비행성
비대칭
깃털이 발달했다.지난 수십년 동안 고생물학계는 새가 어떻게 하늘을 날게 되었는가에 대해 두가지 이론이 팽팽하게 맞서 있었다. 하나는 땅 위를 빠르게 달리다 하늘을 날았다는 ‘이륙’(ground-up)설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