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유물
물건
물체
목표
대상물
객관
객체
d라이브러리
"
사물
"(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2
꺾을 때에도 쓰이는 등 사용범위가 더 넓어졌답니다.겉으로 나타나거나 눈에 보이는
사물
의 가장 바깥 면을 ‘표면’이라고 해요. 표면은 ‘겉 표(表)’와 ‘낯 면(面)’으로 이뤄진 단어지요.‘겉 표(表)’는 ‘털 모(毛)’와 ‘옷 의(衣)’가 더해져 ‘털이달린 옷’이란 뜻의 글자였어요. 이후에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
과학동아
l
201602
그림 같으면서도 자신만의 언어와 특별한 상징을 담아내고 있다. 그에게 있어 세상 모든
사물
은 3차원이 아니라 2차원 캔버스의 연장선이었다.특히 그는 다양한 언어의 사전을 모아 자신만의 단어를 만들어내고, 그 단어를 작품 속에 표현했다. 이충순 벗이미술관장(정신과 전문의)은 “자신만의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02
밝혀지지 않았답니다.분명한 점은 우리가 실제를 그대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사물
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와 시신경을 따라 대뇌에 도달하면 우리는 무언가를 ‘보게’ 돼요. 그리고 이 과정에서 뇌가 정보를 편집하기 때문에 실제와 다른 착시현상이 보이는 거랍니다. 뇌는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02
스웨덴의 그래픽 작가랍니다.로이터스바르드는 어린 시절에 난독증 진단을 받아
사물
의 크기와 거리를 정확하게 보기가 힘들었어요. 하지만 그런 장애를 딛고 1934년에 만든 불가능한 삼각형을 포함해서 살아있는 동안 2500가지나 되는 불가능한 도형을 만들었어요. 펜로즈 경은 로이터스바르드보다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01
진가를 종종 잊는다.일례로 손을 살펴보자. 그리스의 의사였던 갈레노스는 사람의 손은
사물
을 조작하는 도구로 그야말로 완벽하게 설계됐다며 입에 침이 마르게 칭찬했다. 디즈니 영화에 나오는 마법처럼, 손은 쉴 새 없이 변신한다. 갈고리 모양 손잡이(들통을 들 때), 가위 모양 손잡이(담배를 쥘 ... ...
[News & Issue]GM연어
과학동아
l
201601
GM연어연어 좋아하시나요? 생선이라면 질색을 하는 기자도 연어는 정말 좋아하는데요. 사르르 녹는 붉은 속살의 고소한 맛이란….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벌써 입안에 침이 고입니다. 연어는 오메가 3와 비타민 E가 풍부한 건강식품이기도 합니다.이런 연어가 최근 논란의 중심에 있습니다. 미국식품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
수학동아
l
201601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가는 A군. 따뜻하고 밝은 집에 들어가기 위해 스마트폰으로 미리 집 전등과 난방을 켠다. 아침부터 집을 비웠지만 도난 ... 혼자서 해볼 수 있어 논리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사물
인터넷을 직접 만들어 미래의 삶을 더 가까이 가져와 보자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
과학동아
l
201601
김 대리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우리가 무언가를 만질 수 있는 이유는 우리 몸과
사물
을 이루는 원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 상호작용 때문이다. 하지만 원자핵 주위를 둘러싼 전자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게 만든 토대는 원자핵을 유지시키는 강력과 약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약력과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배울 수 있었어요. 독자 친구들도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사람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
읽고 현미경에 푹 빠지게 됐답니다.”그 뒤로 윤관우 기자는 주변의 생물과 온갖
사물
들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 보니 더 좋은 현미경을 갖고 싶다는 생각도 들게 됐지요. 용돈을 모으고 아빠의 도움도 받아 몇 개의 현미경을 구입할 수 있게 됐답니다.그렇게 현미경에 푹 빠져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