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씨왕조
조선왕조
조선조
한양조
이씨
왕가
d라이브러리
"
왕조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05
때는 비가 온 뒤에 땅을 파 보아서 물이 스며든 깊이를 재는 것이 고작이었다. ‘조선
왕조
실록’에도 “오늘밤 비가 내려 땅속에 스며들기를 1촌 가량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토양의 상태에 따라, 혹은 비가 내린 강도에 따라 그 깊이가 달라져 정확할 수 없다. 때문에 1년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02
앞에 설치할 수 있었다.과학사학자 전상운 교수(성신여대)는 자격루로 인해 “조선
왕조
는 완벽한 정밀기계 장치의 자동물시계를 국가 표준시계로 정확하게 시보하는 기술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만하면 국보 229호 자격루가 1만원권 지폐에 세종대왕과 함께 새겨질 자격이 있지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01
생긴다. 토네이도 중에는 작은 소용돌이들이 여러 개로 갈라져 생기는 것도 있는데, 조선
왕조
실록의 기사에서 다섯 마리의 용은 갈라진 토네이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토네이도가 주변의 물건들을 빨아올리는 것은 기압차 때문이다. 토네이도 외부의 대기압이 보통 1기압(1013hPa)보다 조금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11
1960년대 초에 ‘서울토네이도’라는 것이 뚝섬에서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조선
왕조
실록에 ‘하늘에서 물고기가 떨어졌다’고 하는 것도 바다 위에서 발생한 토네이도가 물기둥을 일으켜 물고기까지 빨아 올린 것을 두고 한 말이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용오름이다.구름 속 물방울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11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약 2천년에 걸쳐 기록된 지진 자료(삼국사기, 고려사, 조선
왕조
실록)를 보면, 이 기간 동안 약 2천회에 가까운 지진기록이 있다. 이 중에는 다수의 사상자를 낸 지진도 많이 포함돼 있다. 즉 판 내부 지진활동의 경우에는 불규칙성이 많고 단기적인 주기성을 찾기 어렵기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06
한국에서 기계를 통해 지진을 측정한 시기는 일제시대부터다. 그 이전의 경우는 ‘조선
왕조
실록’과 같은 사료를 통해 추측한 것이다. 즉 집이 어느 정도 움직였고, 땅이 얼마나 기울어졌는지에 대한 묘사를 통해 지진의 규모를 추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료를 작성한 사람의 주관적 판단이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05
처음부터 미라를 피라미드의 무게중심에 위치시켰던 것은 아니었다. 고왕국 제4
왕조
의 쿠푸왕 때(기원전 2570년 경)에 피라미드는 비로소 완전한 정삼각형으로 구성되는 사각뿔 형태를 갖추었다. 그리고 미라가 피라미드의 무게중심에 매장되게 된 것도 이때부터였다. 그 이전까지의 피라미드는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03
분류해보면 10세기 후반이 그 이전보다 황사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왕조
실록에도 황사 현상에 대한 기록이 자주 나온다. 태종 11년에는 14일 동안이나 흙비가 내렸다는 기록이 있고, 성종 9년 4월에는 흙비가 내린 것에 대해 임금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자격 없는 사람이 벼슬자리에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10
심도록 하고 만일 이를 시행치 않을 시에는 벌을 내린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특히 조선
왕조
실록에 닥나무와 관련된 내용이 24회나 언급돼 있는데 특정 수목에 대한 내용이 이렇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도 ‘문명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종이가 갖는 중요성 때문이리라. 화살도 뚫지 못하는 한지살아 ... ...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
과학동아
l
199810
않을 때까지 매일 관찰한 기록이 있다. 또 ‘동국문헌비고’ 1594년 2월 20일과 ‘조선
왕조
실록’ 1594년 11월 2일에 다시 이 별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별이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는 신성이 아니라 밝기가 변하며 존재하는 별로 인식한 것이다.서양에서는 티코 브라헤의 제자이며 독일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