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3,8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음의 소리수학동아 l201702
- 수 있었다면, 조석과 애봉이는 과연 사귀게 됐을까?우리의 마음속에 담아둔 말들을 속 시원하게 대신 해주는 마음의 소리. 엉뚱하고 재치있게 유쾌한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마음의 소리가 10년을 넘어 20년, 30년 이상 장수하는 웹툰으로 꾸준히 연재되길 바란다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02
- 거래하면 그 결과가 바로 승인되지 않는다. 거래한 증권사들,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등 주식 거래 사이에 여러 기관들이 걸쳐 있어 최소 3일이 소요된다.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각각 다 다른 장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을 이용할 경우 모두 같은 장부를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02
- 스타일이 같을 것이다.분석 결과 대부분의 그림은 각 점에서 곡선을 연장했을 때 생기는 원의 지름이 200픽셀 안팎이었다. 하지만 유일하게 미인도만 눈에 띄게 다른 결과(434.65픽셀)가 나왔다. 장페니코 LTMI 사장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미인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에서 지름이 거의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02
-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거죠. NASA 랭글리연구소 케빈 켐톤 수석연구원은 “얼음집은 반투명해서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우주인들이 집처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어때요? 집처럼 아늑하게 느껴지시나요?Home sweet home이곳에는 당신의 방과 화장실, 샤워실, 부엌,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2
- 프로젝트 최종 심사에서 “이 연구가 홈런을 칠 가능성이 얼마나 되냐”는 심사 위원의 물음에 “지금으로선 0%”라고 답했다고 한다.선정된 연구는 기체가 흐를 때 그 안의 연료 입자(고체 알갱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예측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료 입자가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02
- 미국의 유전체해독장비업체인 일루미나는 유전정보 분석업체인 헬릭스를 설립하고, 병원에 갈 필요 없이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볼 수 있는 ‘DNA 앱 스토어’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2011년만 해도 자신의 유전자를 해독하는 데 드는 비용은 10만 달러(약 1억1800만 원)에 달했지만, ... ...
-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수학동아 l201702
- 찍은 것이지요. 승무원 두 명은 춤을 추기도 하는데, 실제로 S7항공에 근무하는 승무원으로 공중 곡예 훈련을 받고 참여했습니다.이 무중력 비행기는 단지 돈벌이 수단으로 만든 건 아닙니다. 우주인들이 우주에 가서 쉽게 적응하기 위해 만든 훈련용 비행기입니다. 우주인들은 짧게는 며칠, 길게는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앞유리에 도로의 상황과 정보가 펼쳐지는 3차원 내비게이션이나, 무대 아래에서 반사시킬 필요가 없는 ‘진짜’ 홀로그램 공연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상 해상도가 낮고 360° 시야각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 등 다양한 한계점이 남아있다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02
- 가격을 적으면, 경매인이 보고 낙찰자와 가격을 적는다. 이 날은 120kg 자루가 16만~20만 원 선에 거래됐다. 가장 필요한 사람이 앞에서 가격을 올리기 때문에 앞 번호일수록 비교적 가격이 높고 뒷 번호일수록 가격이 조금 떨어진다.“보통 하루에 120kg짜리 2000자루를 거둬. 날씨가 좋으면 2600자루 정도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왔다”고 말했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