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제
이야깃거리
화젯거리
말거리
d라이브러리
"
이야기거리
"(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11
서늘한 가을이 다가왔다. 가을하면 흔히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지만, 독사(毒蛇)의 계절이라고도 한다. 살모사가 독이 오르거나 약이 차서란다. 그런데 이 말이 사실일까. 독사의 대명사 살모사는 왜 독을 지니고 있는 걸까. 독을 가진 파충류에 대해 속 시원하게 파헤쳐보자.겨울잠을 준비하는 살모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과학동아
l
201511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한 사람에게 하루 동안 공급된 열량은 전세계 평균 1961년 2196kcal에서 2011년 2870kcal로 50년 사이에무려 30%가 늘었다. 2011년 벨기에인들은 하루 섭취 권장량(2000~2500kcal)을 훨씬 웃도는 3793kcal를 공급받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오스트리아(3784kcal), 터키(3680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
자동차는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엘리베이터는 어떤 힘으로 오르내릴 수 있을까요? 다양한 기계들의 기본 원리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며 기계를 체험할 수도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이 직접 확인해 보기 위해 어메이징파크로 달려가 봤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10
모든 인류는 약 15만 년 전에 아프리카의 한 여성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로부터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분석한 결과다.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는 10만 년 전에 중동에, 7만 년 전에 서아시아에 진출했다. 6만 년 전에는 오세아니아, 4만 년 전에는 유럽에도 현생인류가 살게 됐다. 이동 시기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10
“나는 화성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헤르메스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간의 탐사 활동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산소 발생기가 고장 나면 질식사할 것이다. 물 환원기가 고장 나면 갈증으로 죽을 것이다.이 막사가 파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10
같은 고등학교에 다니는 A와 B는 중학교 때까지만 해도 ‘절친’이었다. 하지만 고등학교에 들어온 뒤부터 두 사람 사이에 거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A는 가정 형편과 성적, 성격, 외모 등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소위 ‘엄친아’였던 반면 B는 모든 면에서 평범한 학생이었다. 둘 사이가 소원해진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10
#2 가난한 농부의 맏아들. 한평생 나를 옭아맨 운명이었다. 내가 태어나기 직전 나폴레옹이 유배지에서 죽었다고 한다. 왕당파 귀족들과 성직자들은 혁명기에 빼앗겼던 특권을 되찾았다. 그런 시절이었다. 농촌이든 도시든 평민은 모두 찢어지게 가난하고 비참했다. 난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다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
수학동아
l
201510
중식당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원형 회전 식탁은 가운데 회전판이 있어 둘러앉은 사람들이 쉽게 반대편에 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더불어 사람들은 서로 얼굴을 마주보며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 각국 정상들이 모이는 국제회의에서도 동그란 탁자에 둘러앉은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 ...
[과학뉴스] 장거리 주자도 뛰는 건 괴로워
과학동아
l
201509
지구 상에서 가장 빠른 장거리 주자도 42.195km를 뛰려면 두 시간이 넘게 걸린다. 그 긴 시간을 달리며 그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았던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실험이 이뤄졌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노스리지 애슐리 셔먼 교수는 장거리 주자 10명을 선정한 뒤 녹음기를 부착시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9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요즘 신문이나 방송을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외계행성을 찾았다는 소식이 뜬다. 특히 지난해부터 올해 사이에 1000개에 가까운 외계행성이 발견됐다. 이들 대부분은 생명체가 과연 존재할 수 있을까 고개가 갸우뚱해질 정도로 기상천외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