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한쌍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르가슴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11
오르가슴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득이 있으므로 진화되었다고 주장한다.첫째 오르가슴은
한쌍
의 남녀관계를 결속시켜준다. 성교 도중에 여자들이 오르가슴을 통해 남자 못지않은 수준으로 성적 쾌감을 보상받는다면 여자들은 성교할 때마다 짝에게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다. 이러한 여자에게 ... ...
노벨물리학상 - 리, 리처드슨, 오셔로프
과학동아
l
199611
동안 초전도현상이 왜 일어나는지를 알지 못했다. 1957년 "초전도현상이 두개의 전자가
한쌍
을 이루는 구조로 일어난다"(BCS이론)라고 바딘, 쿠퍼, 슈리퍼에 의해 설명되자, 비슷한 방법으로 ³He액체도 초유체상태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1971년 말까지 ... ...
부엌에서 찾아낸 과학
과학동아
l
199611
식물은 어떤 환경에 살까? 세번째 수수께끼생물학자인 박씨는 연구 하기 위해 나무늘보
한쌍
을 정글에서 집으로 데리고 왔다. 정글에서 늘보는 움직이지 않고 몇 시간 동안 나무에 매달려 있어서 나뭇가지와 구별이 되지 않는다.박씨는 여러 주일 동안 늘보를 관찰했다. 늘보는 빨래 줄에 매달려 ... ...
인간은 왜 남녀로 구분될까
과학동아
l
199610
세포융합에서도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왜냐하면 세포가 융합할 때 두 세포의 핵DNA는
한쌍
의 염색체 안으로 함께 들어가므로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두 세포의 소기관은 하나의 세포질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싸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토콘드리아끼리 사활을 건 투쟁을 벌일 소지가 ... ...
나는 여자인가 남자인가
과학동아
l
199605
염색체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이 문제는 조금씩 풀리기 시작했다. 당시 세포학자들은
한쌍
의 염색체가 나머지 염색체들(상염색체, 사람의 경우 22쌍의 상염색체가 있다)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즉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염색체가 한쪽 성에서는 똑같지만 다른 성에서는 서로 다른 것이다. 사람의 ... ...
곤충의 생체시계는 어디에 있나
과학동아
l
199507
활동하는 체내시계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기관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 시엽은 좌우
한쌍
으로 양 시엽간을 연결하고 있는 신경연락이 있기 때문에 두개의 구동체는 동일한 위상으로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양 구동체 간에 정보의 오차가 일어나지 않는다.결과적으로 외계의 빛 시그널은 복안으로부터 ... ...
사람은 왜 죽는가
과학동아
l
199506
DNA 사슬을 형성한 뒤 이에 맞대응하는 반쪽의 DNA 사슬을 각각 다시 맞춰서 새로운 또
한쌍
의 DNA를 얻는 과정이다. 실제로 여기서는 효소와 단백질 등이 관여한다. 이때 DNA 사슬의 한 쪽 끝을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역할을 염색체의 꼴찌 부분인 말단소립이 수행하고 있다.말단소립에 해당하는 ... ...
DNA 절단 가위 구조해명
과학동아
l
199502
유전자는 부친과 모친에서 물려받은
한쌍
의 DNA로 구성돼 있다. 그리고 각 쌍은 난자나 정자를 만들 때 상대하는 곳에서 교차하여 각 유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부친쪽과 모친쪽 각 정보가 뒤섞인 유전자가 만들어져 그것이 자식에게로 전달되는 것이다.이때 교차한 DNA는 자연히 잘려 다시 본래의 ... ...
4. 남·녀 성결정의 열쇠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412
등 두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성세포가 성숙하면서 감수분열을 할 때 이 성염색체
한쌍
은 둘로 분리된다.감수분열된 여성의 성세포인 난자세포는 한개의 X 염색체와 22개의 보통염색체를 갖게 되며 남성의 성세포인 정자세포는 한개의 X 혹은 Y 염색체와 22개의 보통염색체를 지닌다. 이 Y 염색체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9
동료를 만나게 되면 서로 상대방의 뱃속사정을 물어본다. 이때 개미들은 머리 끝에 달린
한쌍
의 더듬이로 서로의 뜻을 전달한다. 배고픈 개미가 있으면 배부른 개미는 많은 양분이 섞여 있는 자기의 침을 토해서 배고픈 개미에게 준다.그러나 이러한 영양교환에는 또다른 복잡한 의미가 있다. 개미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