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한
국한
규제
특정
일정
조건
유한
d라이브러리
"
한정
"(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09
정밀공학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반도체 분야다. 반도체 분야는 집적도를 높여서
한정
된 크기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같은 구조를 좀 더 작게 가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18nm급 메모리를 개발했다면, 18nm(나노미터)급보다 작은 반도체를 가공할 수 있게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07
››› 더웠다 추웠다 정신 없는 지구다연성계의 행성은 물리학적으로 오직 몇 가지
한정
된 안정 궤도만을 돌 수 있다. 두 개의 별이 도는 쌍성의 경우, 둘 중 하나의 항성(별)만을 도는 행성(이를 ‘S 타입’이라고 한다)과 두 항성의 바깥을 도는 행성(이를 ‘P타입’ 또는 ‘쌍성주위행성’이라고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205
언제든 계속 일어날 것만 같다. 하지만 이런 게임의 예측은 단 한 번의 게임일 때에
한정
된다. 게임이 반복되면 용의자들에게 비협조적이었던 다른 용의자에게 벌칙을 부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서로 배신하던 사람들은 벌칙을두려워해 서로 협력하게 된다.이 때 가장 좋은 전략은 ‘눈에는 눈’ ... ...
언터처블 : 5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05
오목정다면체의 형태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중학교에서는 다면체를 볼록정다면체에
한정
해서 배운다. 정다면체를 볼록정다면체 5개와 오목정다면체 4개를 합쳐서 총 9개라고 배우지 않고, 볼록정다면체 5개만 배우는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오목정다면체라는 개념을 다루지는 않기 때문에,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05
우주의 반복을 계산할 수 있다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범위는 반지름 약 420억 광년으로
한정
돼 있다. 관측 수단인 빛이 그 이상의 우주를 우리에게 안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어떤 외계 지적생명체라 해도 마찬가지다. 반지름 420억 광년의 공간이 하나의 우주를 구성하며, 우리 우주 밖에는 이런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05
분석한 결과, 미토콘드리아의 대부분이 손상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미토콘드리아는
한정
된 공간에서 면적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크리스테’라는 주름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이 부분에 파괴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과학자와 기술자 협력으로 바이오 ... ...
Part2. 안전·환경·쾌적-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04
5m 이상 번쩍 들린 채 운항하는 셈이다).좌초가 일어나면 배 안에 물이 들어오는데, 물이
한정
된곳에만 차도록 유도하면 배 전체가 무거워지지 않아 침몰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형 선박은 안에 벽 같은 세로 시설물을 설치해 들어온 물을 가둔다. 이런 벽에는 두 가지가 있다. 화재가 날 경우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03
빛의 속도는 유한하다. 따라서 우주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입자의 범위는
한정
돼 있다(지름 820억 광년). 따라서 그 이상 먼 우주는 관측한 적이 없고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모른다. 이렇게 관측 범위 안의 우주(또는 우주 일부)를 ‘조각(패치)우주’라고 부른다. 조각우주 안에서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03
하는 게 좋습니다.”대환 군은 그날 하기로 마음 먹은 것은 반드시 끝내고 잤다.
한정
된 시간을 쪼개다 보면 점심시간도 아까울 때가 많았다. 살도 많이 빠졌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해서 택한 길이기 때문에 즐겁게 할 수 있었다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03
설명했다. 인공신경망도 이런 한계 때문에 주식 시장 예측이나 얼굴을 확인하는 등의
한정
된 영역에 머물렀다. 김대식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결국은 인공지능과 인공신경망 두 접근 방식이 다 실패한 셈”이라며 “현재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다 정리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