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이야깃거리
테마
이야기거리
화젯거리
소문
과제
d라이브러리
"
화제
"(으)로 총 9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07
공학자 그렉 레이는 2007년 미국 네바다주에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테슬라 코일을 만들어
화제
가 됐다. 이 테슬라 코일은 높이가 10층짜리 건물만 하다. 약 80m 간격으로 두 대를 세웠다. 여기에 800만W나 되는 전류를 흘려보내니, 두 대 사이에서 200kV나 되는 정전기가 생겼다. 그리고 약 50m짜리 거대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07
말을 이해하고 명령을 수행한다. 때로 재치 넘치는 답변을 내놓기도 해 인터넷에서
화제
가 된다. IBM의 대표 인공지능 ‘왓슨’은 이미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장차 인간 의사를 대신해 환자의 유전 정보를 해석하고, 의학문헌에서 관련정보를 단 몇 분만에 찾아내는 등 충실한 의학 조언자로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07
살펴보면서 두 나라의 스타일 차이는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한 해설자가 방송에서 말해
화제
가 됐던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닌 것이다. 피츠버그에서 강정호를 영입한 이유 역시 장타력 때문이었다. 올 시즌이 끝날 때까지 한국의 파워를 미국 곳곳에 널리 알려주길 ... ...
작은이빨톱상어는 섹스 없이 후손 낳는다?
과학동아
l
201507
성관계(교미)를 통해 후손을 생산한다. 그런데 최근 단성생식을 하는 척추동물이 발견돼
화제
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앤드류 필즈 연구팀은 미국 남서부 플로리다 해안선에 서식하는 톱상어의 4% 정도가 단성생식으로 태어난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6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플로리다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
과학동아
l
201507
비슷하다. 왓슨은 2011년 TV 퀴즈쇼 ‘제퍼디!’에서 인간 챔피언을 이겨 전세계에
화제
를 뿌렸다.한국도 왓슨과 비슷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있다. 김현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은 “일반적인 의사소통을 넘어 전문 지식까지 나눌 수 있는 인공지능인 ‘엑소브레인’을 ... ...
당(糖, sugar)
과학동아
l
201507
좋지 않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특히 과당은 그 해악이 에탄올에 버금간다고 해서 큰
화제
가 됐다. 포도당과 달리 간세포에서 처리돼 간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혹시 눈치 챘는가? 단맛 소주는 에탄올만큼 나쁜 과당에 에탄올을 더한 식품인 셈이다). 그뿐인가.과잉 섭취한 과당은 간에서 대부분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과학동아
l
201506
산보다는 염화이온(Cl-)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이 물질이 세계적으로
화제
가 되는 것은 혹시 모를 건강 위해성 때문이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이 물질을 2B 그룹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2B는 아직 발암물질로 보긴 어렵지만 연구 자료가 부족하므로 앞으로 지켜보겠다는 의미가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해외 연구진이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블랙홀을 찾아
화제
가 됐어요. 중국 베이징대학교 쉐빙 우 교수팀은 강력한 에너지를 내는 천체, 퀘이사 ‘SDSS J0100+2802’를 관측했어요. 지상에 있는 망원경과 적외선 탐사위성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 알아냈지요. SDSS J0100+2802는 물고기자리와 ... ...
[수학뉴스] 비 냄새 원인은 빗방울 속 알갱이
수학동아
l
201506
오는 날엔 비릿한 특유의 비 냄새가 나지요? 최근 이 비 냄새의 원인이 밝혀져
화제
입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기계공학과 컬런 뷰이 교수와 정영수 연구원은 최근 빗방울이 떨어질 때 일어나는 현상을 세밀하게 관찰해 비 냄새가 나는 이유를 밝혔습니다. 이 논문은 지난 5월 7일 미국의 과학전문지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
수학동아
l
201506
뷔크만 교수팀이 벌집 모양을 닮은 육각형 구조로 투명망토를 재현할 수 있다고 주장해
화제
입니다.종이를 접거나 펴면 종이 위의 한 점의 위치가 변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축을 바꾸면, 새 좌표를 나타내기 쉬워집니다. ‘빛’의 경로를 추적해야 하는 투명망토 기술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