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핫팩을 다시 쓰진 못합니다. 핫팩에는 철 외에도 탄소 가루와 소금, 물 등 여러 가지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어요. 이러한 물질들은 철의 산화가 빨리 이루어지도록 돕는 촉매 역할을 해 손난로가 더욱 빠르게 열을 낼 수 있답니다. 핫팩을 오래 만지작거리다 보면 부직포에서 미세한 산화철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펫보험의 대중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요소인 보험료가 비싼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동물병원마다 진료비가 모두 다르고, 해당 반려동물이 정말 보험을 가입했는지 여부를 알기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임 대표는 “해당 반려동물이 정말로 보험을 가입했는지, 비슷하게 생긴 다른 아이인지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더 큰 받음각에서도 실속하지 않고 양력을 계속 생성합니다. 이번 논문에선 이 두 가지 특징을 유체역학 공식으로 유도해냈습니다. 물결 형태 지느러미가 발생시킨 소용돌이와 지느러미가 점진적으로 실속을 일으키는 특성 덕분에, 혹등고래는 작은 받음각부터 더 큰 받음각까지 폭넓게 꾸준히 ...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집합은 총 2n이고, 이 n개 중 임의의 두 개가 같은 집합에 속해 있을 경우의 수는 총 2n-1가지다. 따라서 두 개체의 공통점만으로는 분류하는 게 어렵다. 와타나베는 이런 내용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고 ‘미운 오리 새끼 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이 정리는 분류 문제에서 두루 이용된다. 인공지능의 한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수학자들은 이처럼 한 방향으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패턴을 모두 7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프리즈 패턴’이라고 이름 지었다. 그런데 아무리 한 방향이라도 동물에 따라 걸음걸이 패턴이 다양한데, 어떻게 모든 한 방향 패턴을 7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는 ... ...
- 이제는 인공지능도 만화가!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도와주는 사이트 중 하나예요. 투닝을 만든 회사 툰스퀘어의 이호영 대표는 “여러 가지 감정을 만화로 그릴 수 있도록 인공지능을 가르쳐요”라고 설명했어요. ‘고마워’, ‘행복해’와 같은 말은 즐거운 감정, ‘미안해’, ‘슬퍼’와 같은 말은 즐겁지 않은 감정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거예요.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성 AI인 하이퍼클로바X를 2023년 8월 공개했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해 여러 가지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맞춤형 상품 추천과 맞춤형 광고 설정이다. 네이버는 과학동아와 진행한 e메일 인터뷰를 통해 “초개인화된 광고는 상호 대화를 통해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제안하고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응할 수 있도록 AI 딥러닝 과정을 추가로 거칩니다. 이 프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로봇도 태어나서 적어도 한 계절, 1년 정도는 경험을 통해 학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만약 로봇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 예상치 못한 사고로 제한 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다 건너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김홍호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판독할 수 있는가. AI 영상 판독 플랫폼이 임상 현장에서 쓰이기 위해선 이 둘 중 한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문 전무는 임상 현장에서 MRI, CT보다 X선 촬영이 훨씬 잦다는 것을 알았다. 현재 한국에서 의사 출신으로 벤처캐피털에서 일하는 사람은 총 15명. 그중 의사과학자 출신은 문 전무를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원자의 중심에 있고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내가 이 분야를 선택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먼저 거대한 시설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를 연구한다는 사실이 멋졌다. 또 다른 이유는 대학원 진학 직후 발표된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건설 계획이었다. 입자를 엄청난 에너지로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