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동
d라이브러리
"
감격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것이다.태양계 탐사의 제2라운드는 이미 시작됐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우리가 맞보았던
감격
은 1990년대에도 계속될 것이 틀림없다. 어쩌면 이 기간중에 태양계 탄생의 비밀이 밝혀지거나 다른 천체에서 생명체가 발견될 수도 있다. 또한 21세기 초에 있을 행성들의 유인탐사계획의 기반이 1990년대에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저에 침몰해 있는 역사적으로 이름난 자국의 배를 인양함으로써 국민들에게 벅찬
감격
을 준 바 있다. 스웨덴의 바사호, 영국의 메리로즈호, 미국의 모니터호, 일본의 가이요마루(開陽丸) 등이 이들로 수장된지 1백년~4백년만에 다시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이다.장보고에 대한 유적은 청해진 터 외에는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액셀러레이터에서 브레이크로 발을 옮기게 되었죠. 그 실제 느낌을 받았을 때 저는
감격
의 눈물을 쏟아내지 않을 수 없었어요"라고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 주었다. 그는 이제 다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야구경기를 할때는 심지어 슬라이딩까지 한다. 또 그의 손도 촉감시스템의 도움을 받고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1960년대말 일본 교토(京都)의 류고쿠대학(龍谷大學)에서 이 지도를 처음 접했을 때의
감격
을 나는 결코 잊을 수 없다. 일본에서 간행된 지리학사 책에서 이 지도의 사진을 보았을 때의 놀라움이 그 앞에서 크게 증폭된 것이다.그것은 16세기 경의 사본이라고 한다. 길이 1백71㎝, 너비 1백64㎝의 크기다.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40개의 학교를 전전하는 역경을 이겨 내고 끝내는 세계 과학계정상에 오른 메리필드의
감격
적인 성공담은 어려운 처지의 젊은이들에게 희망의 등불이 되었다.85년도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허버트 하우프트먼과 제롬 칼은 1937년 뉴욕시립대학을 졸업할 때 수학과 자연과학에서 각각 최우등상을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2년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면서 '세계4위'의 놀라운 성적과 수많은 금메달을 따냈던
감격
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그러나 노벨상은 올림픽 금메달보다 훨씬 힘들다. 상 자체는 개인에게 수여되지만 노벨상 수상사가 나올만한 학문적 토대와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뒷받침돼 있어야 하기 ... ...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유치해 처음 우승을 맛본 이래 1986년에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활약으로 두번째 우승의
감격
을 누리기도 했다. 올월드컵에서도 준우승을 하는 저력을 보였다.말을 타고 하는 파토(pato)와 폴로(polo)도 인기 스포츠다. 이밖에 테니스 하키 등도 젊은이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럭비도 잘 하는데, ... ...
Ⅱ 생명체의 사령탑─뇌하수체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후에 이자액의 분비가 갑자기 증가했다. 후에 스탈링은 이 날을 회고하며 '잊을 수 없는
감격
적인 순간'이었다고 술회했다. 스탈링의 실험은 내분비학사(史)에 이정표를 세운 가히 위대한 쾌거였다.그후 인슐린이 발견되었는데 이것 역시 우연한 관찰을 흘려버리지 않은 과학적인 탐구정신의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색깔을 도자기에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그야말로 흙을 빚어 옥을 구워내는 벅찬
감격
을 안은 것이다.그것은 한국기술사(技術史)의 새로운 장(章)이었고 자기(磁器) 제조기술에 새경지를 연 커다란 비약이었다. 고려청자의 제조는 그야말로 고도로 승화된 기술의 소산이기 때문이다.그러나 ... ...
로마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들어가 누구나 붙들고 포옹하고 노래를 부르며 축하하는 모습을 보고 필자도 함께
감격
했다. 그때 국민학교에 들어 갔을까 말까 하는 어린아이가 울길래, 왜 그러느냐고 물었더니 "우리나라가 이겼어요"를 되풀이하는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오 솔레 미오' 노래가 저절로 나올만한 햇빛 찬란한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