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거
주거지
주소
거주
소재지
거처
위치
d라이브러리
"
거주지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살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1년 내내 동굴에 살았는지 아니면 계절에 따라
거주지
를 옮겼는지는 불확실하다. 발굴된 사슴뼈로 보아 4~7월 사이에는 거의 잡힌 사슴이 없다는 사실에서 따뜻한 여름에는 동굴을 떠나 여기저기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제2굴'에서 불을 피우면서 남긴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수십배나 빠르다. 지난 온난기(期)에는 동식물이 보다 살기 좋은 기후를 찾아 북쪽으로
거주지
를 옮겨갔으나 이번의 경우에는 상황이 긴박하다. 생육지가 여러곳에 분산되어 있고 설사 일찌기 없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기후변화에 발맞출 수 있다고 해도 인간이 만들어 낸 도시 도로 농토 등으로 ... ...
우주여행의 방향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넘었던 물의 대양(大洋)보다 훨씬 광막한 우주의 대양을 헤쳐 나갈것이다.이 기지겸
거주지
로부터 화성이나 그 위성에 빈번한 항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시초일뿐 소행성이라든가 목성의 위성들 그리고 종국에는 태양계 전체로의 탐험여행도 이루어질 것이다. 그런 다음 23세기의 ... ...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사람이 뉴욕으로 가면 저녁 8시에 잠이 오기 때문에 종달새형 수면형이 된다. 다시 말해
거주지
만 옮기면 수면형태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미국과 같이 넓은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수면형태를 조절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예컨대 종달새형 수면으로 고통받는 뉴욕시민은 로스앤젤레스로 ... ...
라보아제의 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명성은 높아만 갔다. 1775년 그는 왕립화약국의 과학국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거주지
를 빠리 화약고에 마련된 실험실로 옮겨서 더욱 연구에 몰두할 수 있었다.●― 프랑스혁명이 몰고온 변화과학자로서의 라보아제의 명성이 높아가고 있었던 바로 그 시기에 프랑스는 서서히 혁명이라는 거대한 ... ...
한세대 뒤엔 실현될지도 달에서의 생활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확실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서기 2020년경에는 달에 인간의
거주지
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물론 지금부터 한 세대뒤밖에 되지 않는 시기에 그것이 가능할까 하고 의문을 갖는것도 무리는 아니다. 이제까지의 우주개발의 역사, 특히 달에 인간이 착륙하고 난 다음의 지지부진한 ... ...
우리는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동안 같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아마도 이 두 변종들은 서로 부딪치게 되면, 식량과
거주지
를 차지하기 위해 싸웠을 것이고, 여기서 네안데르탈인이 패했을 것이다. 왜일까? 그것은 확실치가 않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이 현대인보다 단단하고 더 강했으리라고 생각케하는 몇가지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자외선 살균기와 여과기 설치를 의무화했다. 또 취수원에서 반경 2백m 안에 목장 집단
거주지
공장등 수질에 영향을 미칠 오염원이 없어야 하고 지하 암반층을 통해 나오는 샘을 파서 물을 퍼내 쓰도록했다. 계곡의 물이나 냇물을 정화해서 생수로 내놓을수 없게 한것이다. 제조시설은 모두 ... ...
단일 종 연구에서 인간 참여까지 생태학의 진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본다면 그 기원은 대단히 멀리 거슬러 올라간다.생태학이란 낱말은 집 또는
거주지
를 뜻하는 그리스어 '오이코스'(Oikos)에서 유래한 말로서 1869년 독일의 생물학자 '헤켈'이 만들어냈다. 즉 어원적으로는 '삶의 장소에 관한 과학' 즉 유기체와 환경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학이었다.생태학의 발전 ... ...
앞당겨진 달,화성에로의 이주계획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달에 20명 정도가 지낼 수 있는 소규모 우주기지를 건설하고 2010년대 까지는 영구적인
거주지
로 발전시킨다.화성에는 2015년까지 전진기지를 건설하고 2030년대까지 영구기지를 완성한다. 화성에서는 원자력 발전에 의한 에너지로 자원 발굴이나 과학조사를 추진할 것이나 인간의 장기체재는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