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무
공유
공적
관용
공동 참가
d라이브러리
"
공용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동화상 재생 편집, 멀티미디어 만끽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제공되므로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사운드카드를 통해 스피커를
공용
할 수 있어 편리하다. 혹 영상보드와 직접 스피커나 헤드폰을 연결할 경우에는 음성출력단자에 연결하면 된다.공청 안테나나 유선 방송용 동축케이블로 TV를 수신할 경우에는 동축선을 영상보드의 안테나 입력 ... ...
2000년 1백인승 중형항공기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국제시장에 진출하고 있다.한편 항공기 관련기술은 무장계통을 제외한 대부분이 민·군
공용
이므로 일단 확보된 항공기 관련기술은 자주국방 능력의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항공기 구조물들뿐만 아니라 전방감시레이더 자동운항장치 관성항법장치(INS) 등의 항공기 탑재품 대부분이 기종에 따라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臺車)*는 관절대차(關節臺車)를 채용하고 있다. 관절대차는 2개의 차체가 대차 1대를 상호
공용
하는 구조의 차량을 말한다. 이 대차는 TGV의 상징으로 통할 정도로 특수한 점 가운데 하나다.TGV는 이 대차를 사용함으로써 대차의 개수가 줄어 차량 중량이 감소됐다. 또 2차 현가장치(懸架裝置)*를 설치할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불가능하다. 그리고 우리 초보자들은 자기만의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아리의
공용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카메라도 가지 각색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이용하는 방법을 쓰기에는 너무나도 어려워서 감히 엄두를 내지 못한다.고작해야 우리는 카메라 파인더상의 물체를 여러번 ... ...
유리잔에 담긴 환상의 산호섬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분량으로 해서 요소를 녹여 주어요. 이것을 A4용액이라 하고, 중성세제 한 숟가락에 목
공용
본드 1/4숟가락을 혼합한 것을 B용액이라고 해요. 유리잔에 A용액을 담고 B용액 몇 방울을 떨어뜨려 주어요.증발되면서 유리잔 벽면에 반짝반짝 비늘 같은 작은 결정들이 달라붙게 된답니다. 건조한 곳에서는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타밀인과 합해 22%를 차지한다. 그밖에 무어족(이슬람 교도) 등의 소수 민족이 있다.
공용
어는 신할리어다.스리랑카는 기원 전 643년 인도 북부 아리아인에 의해 신할리 왕국이 건립되면서 역사가 시작됐다. 기원 전 3세기경 인도 힌두교인 타밀족의 침입을 받으면서 시작된 신할리왕조와 타밀왕조의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영역에서나마 실용적인 기계번역 시스템이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영어와 불어를
공용
어로 사용하는 캐나다에서 일기예보를 영불, 불영으로 번역하는 시스템은 거의 사람의 간섭 없이 성공적으로 번역을 수행한다. 현재 유럽의 EC에는 영국 프랑스 독일 등 12개국이 가입돼 있으며 9개 언어를 공식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수 있다.소설가 복거일씨는 한 토론회에서 다가오는 21세기의 문화를 전망하면서 국제
공용
어의 등장을 예측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지나치게 낙관주의가 아닐까 한다. 도리어 인종주의와 민족주의가 갈수록 거세어지는 미래에 다언어 번역기는 더욱 필요 하게 될 것이다.문자인식 : 휘갈겨 쓴 ... ...
단백질의 위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네덜란드의 화학자 제라더스 요하네스 멀더가 버젤리우스의 추천을 채택함으로써
공용
어가 됐다.탄수화물과 지방질은 탄소와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지만(각각 다른 방법으로) 단백질은 그 뿐만 아니라 질소와 황 그리고 가끔씩 인까지도 공급한다. 단백질은 복잡하며 과학자들은 이제야 살아있는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어떻게 시작됐을까.글자가 없는 시대에도 그림은 있었다. 그림은 최초의 만국
공용
어다. 백번 듣는 것이 한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그리고 서양속담에는 하나의 그림이 백마디의 설명보다 가치있다는 말이 있다. 서양사람에게 우리나라 전래의 지게 모습과 사용법을 말로서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