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칵! 전시회] 둘, 넷, 여덟…. 순식간에 늘어나는 토끼가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또 새로운 식구가 생겼어요. 지난달보다도 두 배 많으니까, 2×2×2×2×2×2=64마리예요. 이제 규칙이 보이네요! 2라는 수를 지나간 달의 수만큼 반복해서 곱하는 거예요. 이번 달은 6번째 달이니까, 2를 6번 곱한 것과 같아요. 거듭해서 곱하면 순식간에 늘어나! 매달 2배씩 늘어나서, 12번째 달이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도움을 받아 데블스 플랜에 등장한 일부 게임을 수학적으로 분석해봤다. 각 게임의 규칙은 분석의 편의를 위해 실제 데블스 플랜에 나온 것보다 간략히 소개한다. 기하학적인 직관이 필요한협동 퍼즐 노희윤 기하학적인 직관이 필요한 게임이에요. 프로게이머 출신 기욤 패트리 씨가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나왔습니다. 어떻게 무기력에서 벗어났을까. 특별한 계기는 없었습니다. 그는 “그냥 규칙적이고 건강한 삶을 살고, 운동 많이 하고, 현실에 집중하려고 노력하면서 점점 좋아지는 중”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비슷한 상황의 친구들에게 다시 힘내자고 응원하고 싶다”는 담담한 말을 남겼죠 ... ...
- 말랑말랑 두뇌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는 1981년 러시아 바빌로프 국립광학연구소에서 비정질(원자나 분자가 불규칙하게 배열된 고체) 유리 안에서 구리와 염소를 반응시켜 수 나노미터 크기의 염화구리 입자를 합성했다. 그리고 염화구리 나노입자가 첨가된 비정질 유리가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통해 공기를 넣었다 빼며 실험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네크로봇은 8개의 다리로 불규칙하게 생긴 물건(다른 거미)을 들어올릴 수 있었고, 심지어 자기 체중의 1.3배 까지도 들어올렸다. 그런데 생김새를 보면이 그리퍼를 누가 쓰려 할까? 활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프레스턴 교수는 “위장 기능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혼자서는 풀기 어려운 문제를 풀어 보세요. 폴리매스 규칙을 잘 지키며 문제를 풀면 국내 최고 수학자에게 멘토링을 받을 수 있어요.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결정을 이루지 않습니다. 이를 화학 용어로 ‘비결정 고분자’라고 부르는데,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결을 이루지 않는 상태를 뜻합니다. 우리 주변의 대표적인 비결정 고분자가 바로 유리입니다. 유리는 분자들이 액체처럼 마구 흩어져 있으면서도 고체의 단단한 특성을 갖죠. 탕후루의 설탕 비결정 ... ...
- [출동, 슈퍼M] 비만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편식하면 안 되지요. 음식을 적당히 골고루 먹어야 하고, 땀을 흘릴 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해요. 지금은 몸이 자라나는 성장기이므로 몸무게의 변화에 민감하게 신경 쓸 필요는 없어요. 단,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 소아비만이 되면 어른이 되어서도 비만이 될 확률이 높아지고, 키가 크지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여기서는 라이프니츠 위주로 이야기해볼게요. 1672년 무렵 라이프니츠는 특정 규칙에 따라 배열한 수, 즉 수열의 합과 차에 관심을 가졌는데 여기서 훗날 미적분학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킬 핵심 아이디어를 얻습니다. 적분 값은 *부정적분의 마지막과 처음 함숫값의 차이로 표현하는데요. 수열에서도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