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루미 크루즈산을 찾은 다음, 에네강에 도착할 때까지 급류를 래프팅할 것입니다. 기존에 수원이 있다고 알려진 아푸리막강은 프랑스 탐험가 셀린 쿠스토가 이끕니다. 두 팀은 만타로강과 아푸리막강이 모이는 지점인 에네강에서 만납니다. 이때부터 제가 합류해 수개월 동안 태양열로 움직이는 ... ...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연구팀은 만타로강을 수원으로 해 아마존강의 길이를 측정하면 아마존강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약 77km 길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제임스 콘토스 박사는 “만타로강은 1년 중 5개월간의 건기에는 물이 흐르지 않아 이를 수원으로 인정하지 않는 견해도 있다”면서도 “강의 최대 길이를 ...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풀고, 다리를 앞뒤로 움직이며 솜 조각을 움직이게 하는 것을 확인했지요. 또, 군부는 기존의 수중 그리퍼와는 달리 물속에서 코르크, 나무, 플라스틱 물체를 붙잡는 것을 확인했어요. 조세핀 갈리폰 교수는 “공벌레는 실험 후 자연으로 돌려보냈고, 군부는 실험 후 6주가 지난 뒤에도 수조에서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1945년 광복 직후 출판된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교과서 제목은 입니다.교과서에 등장할 정도로 사람들에게 익숙했던 개, ‘바둑이’의 정체는 무엇 ... 전했어요. 용어 설명 ●육종: 어떤 작물이나 가축 등의 유전자를 바꾸어 신종을 만들거나 기존 품종을 개량하는 기술 ... ...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AI는 데이터가 들어오면 작업자인 ‘블록’이 이를 순서대로 처리합니다. 이때 기존의 AI는 가장 많은 데이터를 학습한 마지막 블록을 사용해 답을 몰라도 가장 비슷한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연구팀은 학습한 적 없는 데이터에 대해 ‘모른다’는 값을 출력하는 중간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변환기는 천체 망원경의 접안렌즈와 경통의 구경(지름)이 다를 때 연결해 쓰는 도구예요. 기존 직경 변환기를 망원경에 고정하는 조임쇠는 금속이에요. 그런데 금속은 온도에 따라 열팽창이 있을 수 있어 그는 양 끝 접합부를 조리개의 원리를 적용해 설계한 뒤 3D 프린팅해 조임쇠를 만들었어요. 이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해독 난이도 최상급의 반복 서열이 모여 있었기 때문이다. 2023년 8월, T2T 컨소시엄은 기존 Y 염색체의 오류를 수정하고 3000만 개의 염기서열을 추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457-y 새롭게 해석된 염기서열에서는 41개의 단백질 유전자가 추가로 발견됐다. 2003년 이후 20년 간 진행된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Society)’는 커다란 돛을 단 우주선 ‘라이트세일2’를 발사했습니다. 라이트세일2가 기존의 우주선과 다른 점은 무거운 연료를 싣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라이트세일2는 1233일, 약 3년 5개월간 지구 궤도를 1만 8000번 돌았습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바로 태양이 뿜어내는 광자들의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록할 예정입니다. 그러면 왜 미어캣과 일본원숭이를 조사할까요? 마승애 교수님은 “기존 우동수비대 조사를 통해 정형행동을 확인한 동물원을 선정한 것”이라며 “특히 미어캣은 우리나라 동물원에서 널리 사육되는 동물이기 때문에 자료를 수집하기 용이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어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달을 직접 빚어보자! 달의 모양을 관찰해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른바 ‘영구음영지역’을 주변 행성의 반사광을 이용해 촬영하는 미국 장비예요. 기존 장비보다 빛에 200배나 더 민감해 달 표면을 선명하게 찍을 수 있지요.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달의 남극에 가까운 ‘섀클턴 크레이터’라는 곳입니다. 지금까지는 관측할 수 없었던 곳이죠. NASA는 “사진을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