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호"(으)로 총 9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손으로 빚은 식재료 풍성한 식탁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커피 원두 가격은 7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아무리 기호품이라고는 하지만 세계인의 식탁 물가에 악영향입니다. 특히 한국처럼 기후가 맞지 않아 커피 원두를 재배하지 못하는 국가에서는 문제가 더 심각해집니다.이런 와중에 커피 대란을 해결할 방법이 제시되고 ... ...
- [특집] 헷갈린다, 헷갈려~! 어느 쪽이 더 저렴할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개수만큼만 물건을 살 수 있어요. * 용어설명‘%(퍼센트)’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기호예요. 전체를 100으로 생각했을 때 비교하려는 양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나타내지요. 예를 들어, 30%를 분수로 표시하면 30/100과 같아요 ... ...
- [특집] 점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길이도, 넓이도 없어요. 단지 위치만 있을 뿐이지요. 사람들은 ‘’이나 ‘x’ 등의 기호를 이용해 점이 어디 있는지 표시해요.가로, 세로로 칸이 나뉜 표를 그려서 점의 위치를 숫자로 표현할 수 있게 만든 걸 ‘좌표’라고 불러요. 예를 들어, 어떤 점이 출발점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두 칸, 위로 세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언덕 밑으로 굴러가는 공을 상상해 봐요. 어떻게 하면 공의 속도를 알 수 있을까요? 공의 속도는 시간에 따라 점점 바뀌기 때문에, 공의 속도를 재려면 매우 짧은 시간 동 ... 미적분의 발명자로 인정받고 있어요. 지금도 미적분을 계산할 때는 라이프니츠가 만든 기호가 여전히 쓰인답니다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참나, 내가 죽은 지 2500년은 족히 됐는데 이제 와 뭐가 억울하다는 거지? 수학적으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사람의 이름이 널리 쓰이는 건 당연한 거 아냐? 좋아, 너희들 ... 바빌로니아 사람들 덕분에 완전히 새롭게 생각하게 됐지요. *용어정리비: 두 수의 양을 기호 : 를 써서 비교한 것 ... ...
-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수 없는 무한집합’으로 정의하고 그 성질을 밝힌 것이지요. 이를 ‘무한대’라고 하며, 기호로 ‘∞’라고 씁니다. 그렇다면 다른 분야에서의 무한은 어떨까요? 물리학에서는 어떤 것을 무한히 잘게 쪼개는 과정에 무한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순간 속도를 알려면, 짧은 시간 동안 ... ...
- [가상인터뷰] 수학계의 베토벤 레온하르트 오일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죄다 원주율을 π로 쓴답니다.여러분이 곧 읽을 중학교,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많은 기호는 제가 만들었거나 자리 잡게 한 거예요. 독일 공주에게 200통이 넘는 편지도 쓰셨다는데, 혹시 연애편지? 연애편지라뇨! 공주를 가르치기 위한 편지였어요. 편지엔 속도의 개념부터 중력, 진정한 행복의 ... ...
- [핫이슈] 원주율 세계 기록 달성! 소수점 아래 62조 8318억 5307만 1796번째 자리까지 계산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계산해 봐도 항상 같은 값이 나왔어요. 그것이 바로 3.141592로 이어지는 원주율이에요. 기호로는 π이지요. 소수점 아래 숫자가 끝나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지지만, 앞의 3개 숫자 3.14만 이용해서 원의 둘레를 구해도 자로 재는 것과 큰 차이 없이 값을 구할 수 있었어요. 일일이 원의 둘레를 재지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으로 바뀐답니다. 두 몬스터가 모두 죽으면 어려운 단계로 넘어가야겠죠? ➌에서 ‘&&’ 기호를 엔트리 판단 블록의 ‘그리고’ ( )와 같은 의미로 사용했답니다. 즉, 변수의 값이 모두 ‘참’이 되면 게임이 어려운 단계로 넘어간답니다. 미션스페이스 키를 눌렀을 때 발사되는 특수 공격을 ...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수학동아 l2021년 09호
- 2019년 꿀벌이 숫자 ‘0’의 개념을 이해하고, 간단한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으며, 기호와 수의 개념을 연결할 줄 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꿀벌이 0부터 5까지의 수를 인지할 수 있고, 노란색과 파란색을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뒤 실험을 설계했다. 입구로 들어가면 갈림길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