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으)로 총 1,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만들며 수학에 의문 갖다 현재 그는 주제를 다양화하며 책을 쓰고, 온라인 강연을 기획하고 촬영하는 데 여념이 없습니다. 가장 집중하는 주제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이용해 피보나치 수열을 구현하고, 소수 판별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 등 수학적 원리를 알려주는 거예요. “어떤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공동 대표 정승호라고 합니다. 대표라고 뭘 많이 하는 건 아니고, 그냥 전체적인 기획과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등을 맡고 있습니다. 김영우: 프로그래밍을 맡고 있는 김영우 엔지니어입니다. 박현우: 앞의 두 친구는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했는데, 저는 코딩보단 로켓 설계와 발사를 담당하고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것은 40년 이상 지난 1928년, 조선을 패망시키고 한반도를 통치하던 일본 조선총독부의 기획 때문이었다. 당시 총독부는 조선의 식민 통치를 정당화할 요소를 지석영의 행적에서 찾아냈다. 그를 ‘일본인에게서 (근대적) 우두법을 학습해 무지한 조선 사회에 의연히 우두법을 보급한 인물’로 각색한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순간들’과 망한 과제 자랑대회, 실패 세미나 등의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번 행사를 기획한 안혜정 KAIST 실패연구소 연구 조교수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를 만들고, 실패했을 때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실패연구소의 목적”이라며, “사회적으로 KAIST 학생들에게 기대하는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명색이 ‘스탠딩 코미디’인데, 두고두고 기억날 만한 ‘썰’도 있어야 하겠죠. 이찬민(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학사과정) 씨는 지난 7월, 첫 해외 음악 페스티벌 참가의 꿈을 안고 말레이시아에 갔다가, ‘최애’ 밴드가 말레이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발언을 해 공연 도중 끌려 나가고(!) 페스티벌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KAIST 실패연구소에서는 지난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주제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은 자율적으로 기획, 운영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 방식과 기준 등이 궁금합니다.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전국 공통의 교육과정이 아닌, 자체 교육과정을 편성합니다. 현재는 6차 교육과정을 운영 중이죠. 교육과정을 개편할 ... ...
-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부임해 수학의 쓸모를 알리고 국가 간의 수학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Part1. 경제 불안정, 민주주의 위기 같은 주제를 수학자가 생각보다 많이 연구해요!Part2. 1차 프로젝트 ... ...
- 경제 불안정, 민주주의 위기 같은 주제를 수학자가 생각보다 많이 연구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학을 통해 인류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주제라서 이를 집중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했습니다. 지원 분야는 크게 세 가지인데요. 하나는 직접적으로 인류에 도움이 되는 수학 연구나 교육활동입니다. 다른 하나는 수학의 불평등을 해소하는 연구예요. 연구하기 어려운 여건에 있는 나라가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을 위한 자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더 이상 쓸 수 없는 아이템이니까 빨리 써아죠.” 11월호 기사 방향을 논의하는 기획회의. 이창욱 기자의 유머러스한 의견에 진지한 회의 분위기가 부드러워졌습니다. 대학원에서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공부한 그의 시선은 항상 이렇게 과학과 사회의 접점에 머물러 있어 값집니다. 사실 한국뿐만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