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대기"(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해탑의 실제 높이는 28m고, 학생들이 구한 값은 32m였다. 학생들이 구한 값은 진해탑 꼭대기에 있는 철제 구조물을 포함한 값이라 이런 오차가 났다. 실제와 거의 같은 값에 학생들은 환호했다. 이번 활동을 이끈 김춘희 삼계중 수학 교사는 “학생들이 매스투어를 경험하며 수학으로 세상을 보는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채웠으며, 19~20단과 25~26단에는 ‘이(二)’자 모양의 석재가 돌 틈에 끼워져 있다. 맨 꼭대기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석재가 놓여 있다. 원래 이 정자 모양 돌은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요철(凹凸)처럼 다듬어 결합돼 있었다. 그런데 1000년 이상이 흐르면서 한 쪽 귀퉁이가 떨어져 나갔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역할에 제한을 받는 하나의 유전자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유전자 계층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이 핵심 조절자를 조절하는 ‘진짜’ 우두머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다음 숙제입니다.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온도는 영하 85℃ 밑으로 잘 내려가지 않는데, 노르웨이, 스웨덴, 아이슬란드 등에서는 산꼭대기의 상층 대기에서 특정 조건 아래 만들어지는 바람의 단열 냉각으로 5℃가 추가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진주구름은 북극과 남극 주위에서 주로 만들어지고, 드물게는 알프스 산맥과 히말라야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몸길이의 100배 이상 뛸 수 있어요. 150cm인 사람으로 치면 한 번 점프해서 커다란 빌딩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는 셈이지요. 벼룩이 이렇게 놀라운 점프 능력을 갖고 있는 이유는 점프할 때 근육뿐만 아니라 근육을 감싸고 있는 단단한 외골격까지 이용하기 때문이랍니다.활을 쏠 때, 화살이 걸려 있는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아저씨는 야자나무 하나를 골라 맨발로 사다리를 타고 성큼성큼 올라갔다. 순식간에 꼭대기에 올라가더니 야자나무 줄기의 진액을 받을 통을 설치해 놓고 내려왔다. 이곳에서 야자 설탕을 얻는 방식은 특별했다. 야자나무 위 에 올라가 열매를 따서 가져오지 않고 열매에 상처를 낸 뒤 병을 받쳐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시츄견 ‘호심이’가 있는데요. 호기심이 많아서 붙인 이름이에요. 요놈이 정말 제 머리 꼭대기 위에서 노는 게 아닌가 의심이 들 때가 많아서 사연을 올립니다. 사람이 먹는 걸 강아지에게 다 줄 수 없어서 높은 식탁에서 밥을 먹는데요. 고기를 먹을 때면 꼭 식탁 앞에 와서 볼일을 보는 겁니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가로의 기준이 달랐지요. 어떤 책에서는 기단을 가로로 하고, 다른 책에서는 건축물 꼭대기의 돌출된 부분을 가로로 하는 식이었어요.사실 파르테논 신전의 길이를 제대로 재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2500년 전에 지어진 만큼 부서진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었어요. 또 전쟁으로 신전의 절반 이상이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우와! 너희가 만든 석기는 어떤 모양이야? 우리는 대부분 약 1m 높이의 좁은 바위 꼭대기에 앉아, 석영이나 규암과 같이 단단한 돌로 다른 돌을 내리쳐 석기를 만들었어요.영국 옥스퍼드대, 런던대, 브라질 상파울루대 국제공동연구팀은 2014년 9월과 2015년 6월에 브라질 세라다카피바라 국립공원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다른 진동을 만나면 서로 합쳐지며 에너지가 없어지게 돼요. 이 원리를 이용해, 건물 꼭대기에 추나 물을 얹어 놓고 지진의 진동과 반대 방향으로 흔들리게 해서 지진의 진동에너지를 없앤답니다.“다들 잘 해냈구나. 실제 진원 깊이와 거의 차이가 없는 위치를 계산해냈어.”지진이 발생한 다음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