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꿈의 시대"(으)로 총 7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64t급에 이르는 64종의 선박 설계 표준을 만들었다. 또 거북선을 비롯한 조선시대 군선을 연구해 한국 선박의 역사를 집대성하기도 했다. 김 학과장은 “김재근 교수님은 (조선 기술 측면에서만 보면) 이순신 장군에 비견할 수 있다”며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시조와 같은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준비는 할 게 없고 ‘열린 마음’만 가지고 오면 된다”고 말했다. 인공지능_김재인 ‘(인공지능 시대는) 인간 대 기계의 대결이 아니다. 기계를 가진 인간 대 기계가 없는 인간의 대결이다.데이터와 ... 필요 없다. 당신은 말을 탄다.’김재인 박사(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의 저서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돕고 있습니다.이는 사물인터넷의 상용화와 인공지능 등이 이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지식을 많이 아는 인재보다는 비판적 사고력에 기초한 창의적 사고능력과 집단 지성을 활용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협업의 인성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삼국시대. 무예와 시, 무술이 모두 출중하기로 유명한 마 씨 5형제가 살았다. 넷째인 마량(馬良)은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었다. 마량이 흰 눈썹을 가졌다는 데서 유래한 ‘백미(白眉)’는 능력이 가장 출중한 인물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 중국은 떠오르는 과학기술 강국, 즉 ‘라이징 스타(rising star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많이 소요되는 서사형 정규 앨범을 출시한 것이나, 가벼운 가사가 유행하던 트렌드에 반해 멤버들이 직접 동시대가 겪는 아픔을 가사로 쓴다거나 하는 식이다. 아이돌의 사건·사고가 많이 발생해 SNS 노출을 자제하던 시기에 ... 데뷔 초반부터 일본, 유럽, 미주 등을 지속적으로 방문해 BTS를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45억 년 전~5억4000만 년 전)부터 신생대(6500만 년 전~현재)까지 전 지질시대에 걸쳐 지질학적 작용의 결과 현재 한반도의 지형 형태와 광물자원이 ... 등에 쓰이는 튼튼한 금속재를, 희토류로는 영구자석을, 흑연으로는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만이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다각적인 탐색부터 시작해야 한다. 우리는 이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을 들여놓고 있으며, 대학의 인재상에도 ‘4차 산업’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흔히 4차 ... 교육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개정교육과정의 목표 또한 융합형 인재 양성에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이보그’가 됐다. 지금은 2030년, 인간이 로봇이자, 로봇이 인간인 시대가 됐다. 전극을 심은 남자1998년 세계 최초로 생체 전극을 이식한 케빈 ...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Part 5. 온 몸이 보안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실 이 모든 게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데 말이에요. 오래된 장난감 하나만 봐도 그 시대를 엿볼 수 있잖아요. 어떤 색감이 유행했고 어떤 만화 캐릭터가 인기가 있었는지 말이에요. 그래서 저는 우리 고유 문화유산을 지킨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오래된 국산 장난감과 만화책을 수집하고 있어요. Q.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뇌세포의 연결망을 그대로 복사해서 다른 곳으로 옮긴다는 발상은 실은 디지털 문명 시대의 “전송”과 전혀 다를 바 없는 행위로 보였다는 뜻입니다. 존재를 옮기는 게 아니라 똑같은 존재 하나가 더 생겨났다는 의미겠지요. 물론 남는 정신은 하나뿐입니다. 어떤 방법을 쓰든 전송이 일어나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