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트북"(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건 물론이고 투명하게 만들어 유리창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휴대폰이나 노트북에 장착한다면? 네, 더 이상 충전기를 찾아 헤맬 필요가 없습니다. TV 빛 기술이라고 하면 TV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T V까지 빛 기술로 치는 건 좀 너무하다고요? 모르는 소리십니다. 이번에는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중성자를 이용해 전극재료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개발된 이차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배터리로 사용돼 전자기기의 성능을 높여주죠.“100전 101기, 공학도의 운명”석사, 박사과정은 물론이고 학사과정에서 하는 실험도 생각보다 쉽지가 않습니다. 100번 중에 한 번 성공하면 다행일 정도기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90년대 노트북 제조사들의 다양한 시도의 결과다. 당장이라도 부서질 것 같은 오래된 노트북과 90년대 과학기술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도 여기 있다. 현재의 첨단 과학에 정신이 팔려 오래된 기억을 잊지 말자. 지금 과학기술도 언젠가는 90년대의 과학처럼, 추억이 될 테니까 말이다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자료를 손가락으로 넘기거나 확대하며 설명하는 모습이 SF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시켰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궁금한 내용을 바로 찾아보거나 수업 내용을 정리한 PPT를 태블릿 PC로 보는 학생도 많았다. 필기를 하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 대신 스마트폰을 이용해 칠판을 사진으로 남겼다. 함께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세운 스티브 워즈니악이 설계하고 손으로 직접 만든 컴퓨터예요. 애플사의 컴퓨터와 노트북의 시초가 된 첫 번째 컴퓨터지요. 지금의 컴퓨터와 달리 본체만 있어서, 모니터나 TV를 따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요.“현재 세계적으로 남아 있는 Apple 1 50대 중 6대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어요. 그 중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매체와 콘텐츠들이 두뇌의 지적 능력을 떨어뜨리고 사회에 해악을 미친다. 학교에 노트북이나 태블릿 PC 등을 설치하는 정책을 당장 그만둬야 한다.”그 중 ‘구글링(구글 검색)’에 대한 비판은 독설에 가깝다. 지난 10월 초 독일의 국제방송인 ‘독일의 소리’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구글링은 ...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겜메츄 씨는 “KAIST에 처음 왔을 때 도서관에 밤새 불이 켜져 있고, 학생들이 각자 노트북을 들고 다니는 모습에 놀랐다”고 밝혔다. 더 나은 교육시설과 우수한 교수진이 있는 대학에서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그가 KAIST에 입학한 이유다. 겜메츄 씨는 뇌과학이나 의과학처럼 공학과 의학을 융합한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따지듯 물었다.“그럼 정확하게 이장에게 몇 곡이나 받은 거죠?”박훈은 자신의 노트북을 가져와 세 사람에게 화면을 보여 주며 말을 이었다.“작년 10월부터 지금까지 모두 7곡을 받았어요. 노인은 항상 곡의 파일명을 보내는 월과 일로 된 4자리 숫자로 보냈어요. 그런데 지난 5월 이후로 꽤 ...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대회에는 더 좋은 성적을 거두겠다”고 말했다.➊ 국민대 로봇동아리 ‘쿠도스’ 팀원이 노트북으로 축구로봇 ‘쿠봇’을 조작하고 있다.➋ 브라질 현지에서 촬영한 쿠도스 팀의 기념사진.➌ 어덜트 사이즈 리그에서 우승한 팀 토르윈(THORWin) 멤버들의 시상식 모습.➍ 로봇 ‘똘망’이 붉은 색 공을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붙어서, 잘못해서 높은 전류나 전압이 가해지면 전지가 타들어간다. 실제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도 여러 번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려고 새어 나올 염려가 없는 고체 형태의 ‘고분자전해질’에 주목했지만, 유연하게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성능도 낮다). 그런데 지난 1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