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녹색"(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헤는수학]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큰 발견이 이뤄졌습니다.네덜란드의 교사인 헤니 반 아르켈은 한 나선은하 주변에서 녹색빛이 도는 천체를 목격하고 참가자들과 의견을 나눴습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천체가 아니라는 의견이 나왔고, 실제 천문학자가 해당 천체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분석해보니 이 천체는 주변의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림에서 동북아시아인은 동북아시아에서 유래한 게놈(연두색)과 몽골 유래 게놈(진한 녹색)의 비중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동북아시아인은 다른 아시아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치된 공통 조상을 가지는 셈이다.다만 아래 그림에서 동북아시아인을 더 세분화해서 보면 한국, 몽골, 중국, 일본인도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30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여 여러 줄로 설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정진우 건기연 녹색건축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은 “태양전지판을 ‘ㄴ’자 모양으로 만들어 계단형으로 설치하면 오전에는 세로축에서, 오후에는 가로축에서 태양전지판의 발전효율이 가장 커지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결과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신만의 광선검을 제작하는데, 크리스탈의 색에 따라 광선검의 색이 달라진다. 청색과 녹색이 흔하다. 뜨거운 플라스마라면 팔다리를 자르고, 금속을 녹이는 일도 어느 정도 납득이 된다. 영화에서 광선검에 팔이 잘려도 피가 거의 나지 않는데, 상처 부위가 뜨거운 열에 순간적으로 지져졌기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서울시 환경상 최우수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지요.환경상 대상에는 녹색도시를 위한 온실가스 줄이기, 에너지 절약 등의 실천을 꾸준히 펼쳐온 강동구 환경운동 비영리민간단체 ‘쿨시티 강동네트워크’가 선정됐어요.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과정에서 나뭇잎의 색깔이 노랑, 빨강 등 다채로운 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해요. 잎에는 녹색의 엽록소 말고도 다양한 색소가 있어요. 안토시아닌은 붉은색을, 카로티노이드 계열의 카로틴은 밝은 주황색을, 크산토필은 노란색을 띠지요. 이들 색소는 평소에는 엽록소에 가려 눈에 띄지 않다가 ... ...
- [과학뉴스] 부드럽게 움켜쥐는 로봇 손가락!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대상이에요. 예를 들어, 생명과학자들이 세포의 모습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도구인 ‘녹색 형광 단백질’도 해파리로부터 얻었지요. 과학자들은 해파리 연구를 계속하면 놀라운 발견을 할 수 있을 거로 기대해요. 연구팀은 “로봇 손가락이 해파리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할 ... ...
- [어과동 창간 15주년] 15년 동안 함께 한 홍승우 작가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홍승우 작가님은 어과동 창간호부터 함께 하셨어요. ‘다운이 가족의 생생탐사’, ‘녹색전사 에코’, ‘수학영웅 피코’, ‘SOS 애니몽’, ‘다운이 가족의 생생 양자역학’, ‘생생 인체탐험’ 등 어과동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쭉 지켜보신 작가님의 이야기를들어봤어요.Q15년 동안 마감을 한 번도 ... ...
- 개발VS보존, 비자림로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 도움김순애(비자림로를 지키기 위해 뭐라도 하려는 시민모임 녹색당원), 김용석(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 김익기(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교수), 배윤혁(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생명다양성재단 연구원), 안재하(생명다양성재단 연구원), 이강원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1 도로 너무 비좁다! VS 원활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자동 분사 시설을 설치해서 이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지요. 시민모임의 김순애 녹색당원은 “겨울철에 예산을 투입해 신속히 도로 위 눈을 제거하면, 삼나무를 베어내지 않더라도 도로가 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_INTERVIW 김익기 교수(한양대학교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