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외
우연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d라이브러리
"
뜻밖
"(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시작한지 15년. 보안에 통달했을 법한데 안 부사장은 “매일 매일이 새롭다”라며
뜻밖
의 반응을 보였다. 보안은 컴퓨터나 휴대폰 등 통신 장비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있기 때문이란다. 새롭게 등장하는 보안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15년 전문가에게도 쉽지 않은가보다. “새로운 문제가 계속 생겨난다.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않았지만 발사 당시 발생한 고온고압의 환경 때문에 나로 호의 전기장비나 정밀기기들이
뜻밖
의 고장을 일으켰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실제 외국에서도 이번 나로 호처럼 페어링이 분리되지 않은 사례가 9번 일어났다. 1964년 11월 미국 아틀라스 발사체를 시작으로 지난 40여 년간 러시아, 프랑스,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GGT 수치가 높아져 건강검진의 지표로 이용된다. 그런데 정상범위안의 GGT 수치 편차가
뜻밖
에도 만성대사질환인 당뇨병 발병 여부를 예측했던 것.“의대에서 공부할 때 비만 때문에 당뇨가 생긴다고 배웠습니다. 물론 지금도 그렇게 가르치고 있고요. 그런데 자료를 보니 뚱뚱해도 GGT 수치가 아주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언제 일어날지 몰라 망원경을 설치하는 것으로 실험이 끝날 줄 알았다. 그런데
뜻밖
의 행운을 얻었다. 망원경을 설치하다가 메가번개를 우연히 맨눈으로 관찰한 것이다.지구 위에 유유히 떠있는 구름에서 ISS 쪽으로 치는 번개는 너무나 멋지고 아름다웠다. 단 한번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주변으로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마음이 설렌다. 지난해에는 겨울을 준비하는 오대산의 전나무숲길에서 전에 보지 못한
뜻밖
의 버섯을 만났다. 갈색 숲속에서 계절을 잊은 듯 푸른빛이 감도는 버섯이 눈에 확 들어왔다. 제법 긴 목을 자랑하는 방귀버섯속의 국내 미기록종인 하늘방귀버섯이었다. 버섯은 보통 광합성을 하지 않아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학원생들이 밤새워 실험하는 모습을 대견스러워하는 교수들이 많은데 이 단장은
뜻밖
의 말을 했다. 이렇게 학생들을 배려하는 것도 좋지만 연구가 늘어지지 않을까.“그 반대입니다. 학생들이 밤늦게 실험실에 남아있는 생활이 습관화 되면 시간관리가 느슨해져 다음날 점심때가 지나서 ... ...
책속에 길이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 , 등으로 잘 알려진 영화배우 박중훈 아저씨의 꿈이 과학자였다는
뜻밖
의 이야기로 인터뷰가 시작됐어요.“학교에서 과학실험을 할 때마다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어요. 서로 다른 용액들을 섞으면 새로운 성질의 뭔가가 생겨나기도 하고, 현미경을 이용하면 눈으로 볼 수 없는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에너지를 절약하며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데 있다.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는 재활용에서
뜻밖
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사업단은 지난 8년간 폐플라스틱에서 석유를 뽑아내는 연구를 추진해 연간 3000톤의 플라스틱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전자제품 쓰레기에서 귀금속을 회수하는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입으로 가져간다. ‘뭐 저런 엄마가 있어?’ 정겨운 눈빛으로 모자를 지켜보던 웨이터는
뜻밖
의 광경에 깜짝 놀란다. “놀람을 통해 우리는 그 직전의 순간에 우리가 어떤 기대를 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니얼 길버트 교수의 설명이다.이처럼 우리는 자신도 의식하지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지구의 거리를 50% 증가시킬 수 있다.애덤스 박사팀은 정확하게 계획해 실행하지 않으면
뜻밖
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이 방법의 문제점으로 들었다. 예를 들어 의도하지 않게 달을 잃어버리거나 지구를 옮길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화성도 이동시켜야 할지 모른다. 특히 소행성이 매번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