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난 10월 에드워드 위튼 미국 고등연구소 명예교수가 ‘2023년 이휘소상’ 수상을 기념해 우리나라에 방문했습니다. 이휘소상은 이론물리학에 큰 공헌을 한 한국계 미국 물리 ...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Part3.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Part4.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꼭 맞는 길을 찾은 겁니다. _ 인터뷰젊은 물리학자가 기억하는 위튼 교수서선옥 KAIST 물리학과 교수 교수님은 옳은 것을 하려는 정의감이 강하시고, 후학을 지원하는 데에도 후하신 분이세요. 교수님의 제자들이 곳곳에서 업적을 쌓고 현재는 학자로 자리잡았어요. 제가 위튼 교수님을 처음 만난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질문에 김 단장은 중성미자 천문학을 개척한 공로로 200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일본 물리학자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고시바 교수는 카미오칸데 검출기 성능을 개선한 후, 한 달 만에 우연히 초신성이 터져서 순간적으로 방출된 중성미자를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그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뢴트겐(190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까지,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노벨상 수상자들이 실험 물리학자인 덕분이다. 생활과 가까운 듯 멀게 느껴지는 방사선을 다루며 책은 인류에게 미시 세계라는 새로운 탐구의 문을 열어준 방사성 원소(폴로늄, 라듐)를 중심에 놨다. X선은 물론 전자, 중성자,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50년가량 이론물리학계에 몸담은 위튼 교수의 수많은 연구 성과 중에는 끈이론 혁명을 일으킨 ‘M이론’이 비교적 대중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 물리학자임을 알 수 있지요. 용어 설명*양자장론 : 전기장, 자기장처럼 공간에 펴져 있는 물리장을 양자역학적으로 다루는 이론이다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가장 작은 기본 입자 17개와 이들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모형이다.*우연한 사고 : 입자 물리학에서 가속기 충돌 실험을 하던 중 새로운 종류의 입자를 많이 발견한 것은 물론 이 입자들이 이상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토대로 기본 입자가 끈 형태를 띠고 있다고 가정했더니 수학적으로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산업의 발전 덕분에 온도, 움직임, 소리 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우리의 일상에 깊게 뿌리를 내렸다. 휴대전화 안에도 기능 자체를 관리하기 위한 온도 센서는 물론이고 카메라, GPS, 소리, 움직임 등 여러 앱의 형태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아주 단순한 나침반도 센서의 한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전체 DNA가 뒤섞인 잡탕 상태다. 두 번째, 이 많은 DNA를 한 번에 검사할 수는 없으니 DNA를 물리적 충격이나 자르는 효소를 이용해 적당한 길이로 자른다. 세 번째, 짧게 잘린 DNA 조각을 복제해 양을 불린 다음, 각 DNA 조각의 염기를 하나씩 읽는다. 염기를 읽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염기 하나하나에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자유롭게 드나드는 작은 곤충을 눈으로 쫓긴 어렵다. 이 연구원은 “워낙 작으니 물리고 있어도 모른다” 며 “물린 후에 자연스럽게 옷깃에 쓸리다 보니 긁은 것처럼 염증이 생기고 더 부어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흡혈 방식도 다르다. 우리가 아는 일반 모기들은 주사기와 비슷한 원리로 피를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물리학자입니다. 중성자를 이용해 새로운 방사성 원소를 발견한 공로로 193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죠. 페르미는 1950년 동료 과학자들과 식사하던 중 우연히 외계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당시 페르미는 우주에 외계인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으며, 그 중 몇몇은 지구에 이미 도달했어야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