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성동위원소
동위원소
방사성물질
물질
d라이브러리
"
방사성
"(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포함해 최소 세 명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손과 발의 뼈 등 화석 총 12점을 발굴했다.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 결과 유골은 5만~6만70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유골이 발굴된 섬의 이름을 따 호모 루조넨시스로 명명했다. 호모 루조넨시스는 ‘호빗족’으로 알려진 호모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전류가 나오기 때문에 주변 잡음을 제거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 알파 입자는 라돈의
방사성
동위원소인 토론의 붕괴 과정에서도 나오기 때문에 라돈과 토론을 구별하기도 어렵다. 이온 챔버 방식이 1920년대 처음 나온 오래된 기술이지만 잘 쓰이지 않은 이유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 원자력 발전은 에너지 생산 효율이 높은 대신
방사성
물질 누출,
방사성
폐기물 처분 등 안전에 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수소 핵융합을 이용한 에너지 생성은 이런 우려 없이 안전하면서도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수소 핵융합 반응에서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슈뢰딩거는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증명하기 위해 고양이 생각 실험을 생각해 냈죠.
방사성
원자의 붕괴와 안정이 중첩될 수 있다면, 고양이 역시 살아 있음과 죽어 있음이 중첩될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거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캡틴마블'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더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그래서 82번 납(Pb) 이후의 원소는 붕괴할 때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원소다. 다만 예외적으로 83번 비스무트(Bi)의 경우 반감기가 1900경년으로 너무 길어 거의 붕괴가 일어나지 않는다.원자 번호 100번 이후 원소들의 반감기를 살펴보면 대체로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이때 주변 입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빠르게 가속되다가 서로 충돌해 원자핵이 분열되며
방사성
물질로 바뀐다. 이를 견디기 위해 주노를 만들 때 강철만큼 단단하면서도 무게가 강철의 절반인 티타늄을 썼다.스티브 레빈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주노 프로젝트 연구원은 “주노는 완전히 새로운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가벼운 원소가 대류하기도 한다.함량이 아주 작지만 외핵에는
방사성
물질도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하면서 나오는 열로 또 다른 대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교수는 “이렇게 여러 요인들에 의해 자기장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기장은 계속 바뀌고, 그에 따라 자북과 자남도 수시로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된 오징어 유생들을 바다에서 채집해 위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DNA 분석이나
방사성
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해 어떤 먹이생물을 먹었는지 직접 밝혀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갓 태어난 유생은 크기가 약 1mm로 매우 작아 채집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국립수산과학원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베장 연구원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처리가 어렵고, 사고가 날 경우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는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에너지 기술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프랑스는 태양광 발전과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동차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입자(80~700nm)에
방사성
동위원소인 요오드125를 붙였다. 그리고 이 미세먼지 입자를 실험용 쥐의 코(기도)와 입(식도)에 넣은 뒤, 핵의학 영상장비인 ‘RI-바이오믹스 시설’로 장기마다 얼마나 축적되는지 관찰했다. 이를 이용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