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과사전"(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참여하는 사람이 많으면 망가진 문서도 그때그때 수정될 수 있다. 내가 만드는 온라인 백과사전 이러한 위키피디아를 내가 직접 만들어본다면 어떨까. 친구들과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해야 할 때, 교과서에 나온 다양한 개념들을 이해한 내용을 갖고 우리만의 용어 사전을 만들어보고 싶을 때, 책을 ... ...
- 연세대 수시의 핵, 논술 만점 비법 추론과 글쓰기 집중 훈련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확인하겠다는 의도다. 즉 논술시험에서 배경지식의 심화 수준을 측정하려는 게 아니며, 백과사전식 인재는 선발하고자 하는 대상 또한 아니다. 바꿔 말하면 넘치는 배경지식 또한 자만심의 근거가 돼선 안 된다. 문제 범위를 뛰어넘는 지식이 포함된 답안보다 주어진 제시문과 논제에 근거한 추론 ...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과학동아 l2010년 06호
- SNPedia)’란 사이트가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누구와도 지식을 공유한다는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처럼 SNP 정보를 수집해 공개한 사이트로 248개 유전자의 8000여 개 SNP 정보가 올라와 있다. 아래에 보니 인기 있는 SNP 20여 개가 선별돼 있다. 먼저 이것부터 확인해봐야겠다. ...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활발했던 일본을 거쳐 한국에 들어왔다.이 근거로 이 교수는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백과사전인 이수광의 ‘지봉유설’(1613)의 한 대목을 “일본에서 건너온 왜(倭)개자에는 독이 있다”고 해석하며 왜개자가 고추라고 설명했다. 고추의 매운맛에 약한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을 독살시키기 위해 고추를 ...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보러가기조선시대 말엽인 1809년, 빙허각 이 씨가 엮은 가정생활백과사전 ‘규합총서’에 보면 승기악탕(勝妓樂湯)이라는 말이 나온다. 승기악탕은 각종 채소와 고명을 얹은 도미찜을 가리키는데, 말 그대로 풀이하면 (도미찜의 맛이) 기생보다 낫다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한국 속담인 ‘썩어도 ...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동물 이야기가 재미있는 까닭은 내용이 신선하고 새롭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백과사전에 실린 이론적인 이야기뿐 아니라 저자가 직접 보고 경험했거나 다른 사람에게 들었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았기 때문이다. 밥을 많이 먹어 몸이 무겁고 느릴 것으로 생각되는 돼지가 사실은 ...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경도와 위도를 작성한 표를 참고했을 겁니다. 국토의 정보를 담은 김정호 선생의 지리 백과사전에 이 표가 있지요. 이렇게 만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오늘날 인공위성이 찍어 보낸 우리나라의 지도와 거의 일치합니다.대동여지도의 도로와 물길에서도 수학적인 측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목판 ...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허준이 선조(1552~1608년 재위)의 명을 받아 동아시아 의학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백과사전식 의학서적이다. 분량도 방대해 내경(內景)편, 외형(外形)편, 잡병(雜病)편, 탕액(湯液)편, 침구(鍼灸)편의 5편으로 구성됐다. 내경편은 4권으로 이뤄졌다. 주로 오장육부의 생리적 기능과 그에 해당하는 질병을 ... ...
- The Limits of Internet?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기대한 것은 순진한 생각이었다. 2001년에 생겨난 이후, 사용자들이 만드는 이 온라인 백과사전은 지수적으로 급성장했다. 2년 전 위키피디아에는 하루에 평균 2200개 정도의 새로운 글이 등록됐다. 등록된 글의 개수는 2007년 9월에 200만 개의 항목에 달했고, 2009년 9월에는 300만 개에 이르렀다. 그러나 2 ...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과학동아 l2009년 10호
- 김려가 1803년 편찬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와 더불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어류백과사전으로 평가받는다. 이 두 서적 모두 편찬 당시의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해 줄뿐 아니라 당대의 언어를 연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자산어보’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