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차이
부적응
d라이브러리
"
부적합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현재 그린란드는 전체가 빙하로 덮여있어 소수의 에스키모를 제외하면 인간이 살기에는
부적합
한 곳으로 변했다. 이러한 지구기후환경의 변화는 지구궤도의 변이, 지각운동 등 지구자체의 요인에 의한 것에 중첩하여 인간활동이 이제는 지구자체 변화요인과 거의 맞먹을 정도의 중요성을 차지하고 ... ...
물 오염의 복병 중금속 화학물질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과정에서 물속의 산소를 고갈시켜 하천의 자정능력을 감소시키고 생물이 살기에
부적합
한 환경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생활하수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를 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 결과 현재 하수처리율은 불과 25% ... ...
우주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주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거친 뒤에도 여전히 오염도가 높아 물을 마시거나 세수를 할 때 사용하기에는
부적합
하다. 하지만 앞으로 1년이내에 시스템의 완전 보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마샬연구진은 전망하고 있다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자연조건을 잘 살리고 있는 것 같아요. 실제로 늘 불안정한 화산지역은 인간이 살기에
부적합
한 곳이잖아요. 그런데도 잘 가꿔나가고, 오히려 그 불리함을 이용하고 있었어요. 어떻게 보면 자연으로부터 받는 도전을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았어요.최명윤 이번 탐사를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최초의 생물이 가졌던 기능으로 보기에는
부적합
하다. 두번째는 이미 만들어진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다. 이렇게 되면 구조가 훨씬 간단해지므로 최초의 생물에게 주어지는 부담이 훨씬 줄어든다. 그러나 문제는 어디에 있는 무엇을 먹느냐다.원시지구의 ... ...
정밀검사로 능력 평가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은행에서도 색각이상자의 입사를 제한하고 있으나 업무의 성격상 색각이상이 어떻게
부적합
한가에 대한 구체적 검증은 없는 실정이다.이에 비해 자동차운전면허교부에는 비교적 융통성이 있다. 현행 신체적성검사에서는 2종의 경우 색각이상자도 신호등을 구분할 수 있으면 면허획득이 가능하고 ... ...
체르노빌 사고 이후의 생태계 변화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사슴1천마리를 조사한 결과 97%가 방사능 오염 허용기준치를 초과, 식용으로
부적합
한 것으로 판정되기도 했다. 이들 사슴의 화려한 뿔도 방사능 오염물질이라는 평가를 받아 한때는 '녹용 기피증'이 유행하기도 했다.'원자력 발전 불가피론'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체르노빌 사고에 대한 평가는 여러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그러나 대용량의 정보를 짧은 시간내에 보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영상통신)에는
부적합
하다.AVM(Automatic Vehicle Monitoring) 장치는 운행중인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무선통신 장치다. 예를 들면 현재의 위치 적재상태 운행상황 긴급상황 등을 중앙에 있는 통제소에 무선으로 송출, 신속히 정보를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작물을 수확할 때 잡초종자가 혼입돼 농산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종자로 사용하는데
부적합
하게 만든다. 넷째 공원이나 녹지 공간에 발생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유지비용 지출이 불가피하다. 다섯째 농경지의 관배수로(灌排水路)나 배가 다니는 수로에 잡초가 많이 발생하면 물의 ... ...
태평양 바다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3천m 보다 깊고 수압이 3백기압 이상이며 햇빛 또한 도달하지 못해 생물이 살아가기에는
부적합
한 환경으로 단지 심해어라고 하는 기형적인 물고기 몇 종만이 서식하고 있다. 해양은 지구상의 마지막 자원의 보고라고 한다. 이러한 자원 보고를 개척하기 위한 한국 해양과학자들의 출항이 시작된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