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리"(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초임계 이산화탄소 역시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대신 가스방식은 초고온 상태를 유지해 불리함을 극복하는데, 초임계 이산화탄소 역시 이 장점을 따라 할 수 있다. 증기보다 터빈을 부식시킬 염려가 적어서다. 이처럼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같은 열로 더 ... ...
- [Life & Tech]음주단속 걸렸다면 채혈, 호흡 뭐가 유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두 주장이 팽팽히 부딪혔다. 음주단속에 걸려 채혈 측정을 해본 이들은 채혈이 더 불리하다며 자신의 억울한 사연을 털어놓았다. 실제 경험담인만큼 설득력이 높은 것 같지만 반대 주장도 만만찮다.박세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연구관은 “두 가지 측정 결과를 비교했을 때 특별한 경향을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전문가 모임인 4대강조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6일 성명을 발표해 “보는 치수에 불리한 시설이고 준설 역시 계획보다 줄어든 데다 재퇴적까지 일어나 정부가 주장하는 효과와는 거리가 멀다”고 주장했다.관광효과는 났을까. 비가 와서 그렇겠지만 기자가 방문했던 지난 여름 합천창녕보에는 ... ...
- [수학뉴스] 거북아, 수학으로 일어나자!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천적, 먹이 부족에도 더 잘 버틸 수 있죠. 하지만 뒤집혔을 땐 몸집이 큰 게 훨씬 불리합니다.암컷과 수컷의 차이도 있습니까?보통은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큽니다. 몸집이 클수록 자식을 더 많이 낳을 수 있거든요. 하지만 몸집이 클수록 잘 일어나지 못한다는 것은 암컷과 수컷 모두에게 공통적입니다. ...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설명하기 위해 ‘성선택’ 이론을 제안했어요. 화려하고 거추장스러운 형질이 생존에는 불리할지 몰라도 짝짓기를 하는 데에는 유리하다는 얘기예요. 그리고 더 나아가 수컷끼리의 경쟁과 암컷의 선택이라는 성선택의 두 가지 과정을 구체화 시켰어요.특히 암컷의 선택은 너무 획기적인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할 수 있다. 협력할 경우 서로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데, 개인적인 욕심으로 서로에게 불리한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5억 게임의 경우에는 서로 협력하면 2억 5천만 원씩 나눠 가질 수 있는데, 한 명이 배신하면 다른 사람은 상금을 얻지 못하게 된다.그런데 라이어게임의 2라운드부터는 1대1 대결이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부분은 어땠을까. 사헬란트로푸스 차덴 시스는 숲에서 생활했다. 흰자위는 숲 생활에 불리하기 때문에, 아마도 공막은 짙은 색깔이었을 것이다. 코뼈가 납작하므로(두 코뼈가 나란히 수평을 이루고 붙어 있다), 코 역시 밋밋하고 평평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반면 인간의 두 코뼈는 각을 이루고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열대우림 국가에 비해 생물자원이 적은 것은 사실이지만 꼭 불리한 것만은 아니다. 실제로 국립 생물자원관에서는 2006년부터 자생생물을 찾는 사업에 박차 를 가하면서 유용한 생물자원을 꽤 많이 발굴했다. 최근 독도 와 울릉도에서 발견한 미기록 곰팡이 2종이 좋은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일본군이 맞닥뜨렸다. 당시 조류의 흐름은 일본군의 진격 방향과 일치해 조선군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또한 이순신 장군의 대장선을 제외한 나머지 장수들이 이끄는 배는 일본군의 수에 겁을 먹고 500~800m 떨어진 곳에서 꿈쩍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투가 시작되고 이순신 장군이 선봉에 서서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유혹하기 위해 빨갛고 노란 열매를 만들었는데, 2가지 색밖에 못 보는 초기 영장류는 불리했죠. 결국 초기 영장류 역시 잘 익은 열매를 찾기 위해 3색각을 발달시켜야 했던 겁니다.집단생활과 직립보행을 시작하다나는 앞서 언급한 서스만 교수의 가설을 지지합니다. 그리고 나는 한 발 더 나아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