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숫물
물방울
비방울
d라이브러리
"
빗방울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물과 매우 잘 결합하는 성질을 갖는다. 차 유리에 광촉매를 코팅하면 비가 올 때
빗방울
이 고루 퍼져 시야를 좋게 하며, 나중에 햇빛을 받으면 빗물에 묻어 온 때까지 분해된다.최 교수는 “광촉매의 응용분야는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지금의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자외선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남겼다. 그리고
빗방울
자국과 건열은 분명 땅이 지표면에 노출됐다는 증거가 된다.
빗방울
자국이 새겨지려면 땅이 지표면에 노출돼 약간 젖은 상태일 때 지나가는 비를 맞아야 한다. 또한 건열이 생기려면 이 땅은 완전히 말라서 갈라져야 한다. 그러니까 이 돌판은 물새가 사는 호수에서 형성됐고,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떨어지는
빗방울
의 속력이 무한히 커지지 않고 등속으로 떨어지는 것은 공기저항력이
빗방울
의 무게와 같아졌기 때문이다.한편 진행하는 방향으로 공기와 닿는 단면이 작을수록 공기저항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빠른 속도를 내고 싶다면 몸을 움추려 닿는 면적을 줄여야 한다. 빠른 속력을 겨루는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때문이었다.오전 10시가 넘어서 다행히 민통선지역으로 들어갈 수 있었지만, 이번엔 굵은
빗방울
이 앞을 가로막았다. 물론 탐사팀은 이에 굴하지 않고 우의와 우산으로 무장한 채 고성군 송현천 계곡으로 식생 조사를 나섰다. 맨먼저 탐사팀을 반기는 것은 고고하게 피어난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눈 결정을 형성하는 최초의 순간이다. 만약 0℃ 이상이라면 눈 결정 대신 비를 내리는
빗방울
을 형성한다. 이후 빠르게 눈 결정이 생성되는데, 가장 최초로 나타나는 모습은 6각기둥 구조. 어떤 모양의 눈 결정에서도 처음 이 순간은 같다. 왜일까.X선 결정학의 도움으로 얼음의 결정구조가 밝혀졌다.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다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
에 햇빛이 반사와 굴절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이다.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 있으므로 무지개는 서쪽 하늘에 보인다.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서쪽 지역의 날씨가 동쪽에 나타난다. 즉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지나면서 돌로 바뀐 것이다. 생명체는 물론, 공룡이나 새의 발자국, 물이 흘렀던 자국,
빗방울
을 맞았던 흔적들도 모두 화석이다. 이런 화석들은 '생흔화석'이라고 한다.화석이 된 생명체는 거대한 공룡만 있는 것이 아니라 좁쌀만한 것에 이르기까지 엄청나게 다양하다. 그래서 크고 화려하고 완벽한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모습이 한폭의 그림처럼 펼쳐지고 있었다. 그때까지도 온몸과 신발에 차갑게 젖어든
빗방울
을 느끼지 못함은 공룡뼈를 발굴하는 동안의 숨막히는 긴장감 때문이었을 것이다.카마라사우루스와 앨로사우루스6월 10일, 어제부터 본격적으로 나선 1억4천만년 전의 모리슨층에 대한 탐색작업은 오후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우리는 새로운 모양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해가 지평선에 걸려있고
빗방울
들이 관찰자로부터 1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자. 관찰자보다 730m 높이에 있는 물방울에서 나오는 빛 중 빨간색 빛이 관찰자 눈으로 들어온다. 그런데 관찰자를 중심으로 좌우로 퍼져있는 물방울들에서 나오는 빛은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같은 곤충들은 습도가 높고 흐린 날이면 날개가 무거워져 지면 가까이로 내려온다. 또
빗방울
이라도 들라치면 풀숲이나 나뭇잎에 숨기 위해 지면으로 내려온다. 이런 때 제비는 지면 가까이 내려온 곤충을 잡기 위해 낮게 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비가 어르는 것은 주변에 저기압이 형성돼 있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