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로 보는 뉴스] 남극의 잠꾸러기 펭귄, 하루에 1만 번 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사는 턱끈펭귄은 한 번 잠을 잘 때 4초씩, 하루에 약 1만 번 잔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자는 시간을 모두 더하면 하루에 11시간이 넘지요.턱끈펭귄이 4초씩 짧게 잠을 자며 하루를 버티는 이유는 새끼 펭귄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예요. 부모 펭귄이 오랜 시간 연달아 자면, 행동이 둔해져 갈매기나 ... ...
- 1과 1을 모으면 1이 아닌가요? 에디슨의 엉뚱한 질문!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한 덩이와 다른 한 덩이를 모으면 다시 한 덩이가 돼요. 그럼 1+1은 1이 아닌가요?” 사실 에디슨의 말은 틀렸어요. 찰흙이 합쳐지며 크기가 커졌기 때문이지요. 무게가 1g인 찰흙 한 덩이와 또 다른 1g짜리 찰흙 한 덩이를 합치면, 1g+1g=2g의 찰흙이 되지요. 아쉽게도 에디슨의 예상은 틀렸지만,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더 공부하다가 이 불규칙성이 전 세계 암호 시스템에 쓰이고 있는 RSA 암호의 기반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라고 설명했다. 소수에 대한 생각은 수학 공부에도 도움을 준다. 소수교 부원들은 1~100까지 소수를 알고 있으면 수학 연산 속도가 빨라진다고 입을 모았다. 예를 들어 79가 소수란 점을 알고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학 교과서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이 에서 아주 간단하게 소수가 무한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에우클레이데스의 소수 무한성 정리 에우클레이데스의 증명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p를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라고 가정한다. 즉 소수가 2, 3, 5, 7,…, p 라는 식으로 유한한 개수밖에 없다고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발견을 했다. 바로 소수는 제멋대로 나오지만, 소수의 개수는 수가 커질수록 줄어든다는 사실이다. 소수 개수 어림잡아 알려주는 소수 공식 가우스는 소수가 다음에 언제 나오는지 알아내는 대신 일정한 범위 안에 얼마나 많이 있는지 알아봤다. 그 결과 수의 범위가 10배 늘어나면 새로운 소수가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아디 샤미르, 레너드 애들먼이 ‘무척 큰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건 어렵다’라는 사실을 이용해 만든 ‘비대칭 암호’다. 비대칭 암호는 정보를 암호로 만드는 방법과 푸는 방법이 다른 걸 뜻한다. 정보를 보내는 사람은 아주 큰 두 소수를 곱해 나온 자연수(공개 키)를 이용해 정보를 암호로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현재는 이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다양한 암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재밌는 사실은 RSA 방법을 처음 고안한 곳이 영국 정보통신본부인 ‘GCHQ’라는 비밀 기관이라고 한다. 이 획기적인 발명은 국가 최고 기밀로 분류돼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GCHQ가 4년 먼저 개발했음에도 연구 내용이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조용히 이뤄지던 이들 기업의 기술 개발이 이제 대중에 보일 정도로 무르익었던 것이다. 사실 ‘대중에 보일 수 있을 정도’와 ‘실제 상용화가 가능할 정도’ 사이에는 거대한 벽이 있다. 현재 공개된 휴머노이드 로봇은 안정적으로 걷고, 사과부터 박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물건을 옮기는 정도의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64개일 때, 정팔면체 형태로 구를 쌓으면 소시지 포장보다 더 조밀하게 포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전의 수학적 방법으로 찾지 못한 포장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으로 찾아낸 겁니다. 다른 수의 경우는 이전에 알려진 결과가 대체로 맞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실험 수학이라니,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닮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지프 기울기 값은 ‘-1’입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혹등고래, 큰돌고래, 다람쥐원숭이의 지프 기울기 값도 -1에 가까웠다는 점입니다. 특히, 큰돌고래와 다람쥐원숭이는 성체가 될수록 지프 기울기 값이 -1에 가까워졌습니다. 인간은 막 태어났을 때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