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산"(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30%가량 덜 쓰면서 강자성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필자소개. 한승전 . 1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부터 한국재료연구원에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2020년 ...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com 200만 년 전 그린란드는 생물의 낙원 지금은 북극의 여름, 해가 지지 않는 백야. 먼 산등성이 너머로 낮은 해가 다시 얼굴을 비추자 끝없이 펼쳐진 푸른 자작나무 숲이 드러난다. 거대한 마스토돈 몇 마리가 연못가에서 물을 마시며 소란을 일으키자 놀란 기러기 떼가 푸드덕 날아간다. 토끼와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방하기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우리에겐 등산을 도와줄 도구나 케이블카가 필요합니다. 그렇게 ‘가스트룰로이드(gastruloid)’라는 모델이 탄생하게 됩니다. 가스트룰로이드 이야기는 3월호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 ...
- [에디터노트] 서른 여덟 즈음에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어린이수학동아, 동아사이언스닷컴, 여러 유튜브 채널들. 서른 여덟해 동안 허투루 산 건 아니라고 위로해주고 싶네요. 과학동아에게. 새해 새길을 잘 걸어갈 수 있을 거라고 ... ...
-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셰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읽어 보세요. 예를 들어 오렌지 주스의 재료는 대부분 물이고, 거기에 새콤한 맛을 내는 산과 단맛을 내는 당분 등이 주로 들어 있습니다. 성분표에 있는 식품첨가물을 검색하면 각 성분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어요. 이런 습관을 들이면, 나중에 요리할 때 표현하고 싶은 맛이나 향, 색깔을 쉽게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기자주말 숲속에서 줍깅 숲길을 걸으며 등산로에 떨어진 쓰레기를 주웠어요. 산에 오를 때마다 줍깅을 실천할 거예요! 따분행! 캠페인 송민준 기자물병 분리배출 물을 다 마시고 난 뒤 물병을 감싸고 있는 라벨을 벗겨 분리배출했어요. 굉장히 쉬웠답니다! 여러분도 집에서 따·분·행!을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 같았다. 자신을 둘러싼 복잡한 상황들에 진절머리가 났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라는 옛말이 틀린 것 하나 없다고 생각했다. 남겨진 이들이 망자의 내세까지 신경을 쓴다는 건, 매우 불합리한 일이었다. 그것은 일종의 월권 행위라고까지 설진은 생각했다. 그렇게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많은 종의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육지는 물론이고 에베레스트산 높이보다 더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명체가 각자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 생명체가 고등하다 혹은 하등하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대신 복잡한 혹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사이에서 여러 규칙을 찾는 것을 즐기는데요. 초중생 때는 스도쿠나 노노그램, 복면산 같은 퍼즐을 즐겨 풀었어요. 그런데 퍼즐은 공략법이 있다 보니, 그것을 알게 되면 조금 흥미가 떨어져서 새로운 퍼즐을 풀었어요. 수학 문제를 풀 때도 기존 공식을 활용해서 푸는 문제보다는 제가 모르는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참값의 차이)를 무시하고 계산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저는 조금 더 엄밀하게 계산하고 싶은 욕심이 났어요. 수학에서는 작은 오차를 없애기 위해 연구한다는 걸 알고, 수학이 제게 더 맞는 것 같아서 수학자를 꿈꿨어요. Q. 수학자란 직업이 잘 맞았을 것 같아요. A. 수학을 시작하고 보니 연구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