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d라이브러리
"
순
"(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버블 465일 동안 생존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과정이 복잡하게 작용하면 비눗방울은 결국 ‘펑’ 터지지요.비눗방울을 오래 유지할
순
없을까요? 1월 18일, 프랑스 릴대학교의 에이메릭 록스 연구원팀은 비누 대신 플라스틱 입자와 글리세롤을 이용해 기포를 만들고 465일 동안 유지했지요. 이 기포는 ‘에버래스팅 버블(장수 기포)’이란 이름을 ... ...
[기획] 지구를 살릴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국가는 전체 에너지의 60~80%를 재생에너지로 만들도록 권고해요. 우리도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목표를 이루려면 하루 빨리 친환경 에너지로 발전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의미죠.에너지 전환에 적극적인 유럽연합(EU)은 친환경 경제활동에 녹색 라벨 표시를 해 주는 ‘EU ... ...
[인터뷰] "저 수학 좀 했어요!" 코미디언 황제성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그러다가 중간에 패러디를 하거나 웃긴 동작을 섞어서 큰 웃음을 이끌어 내죠. 어느
순
간 공식이 보이니 회의 시간도 짧아지더라고요. Q 맞다! 대본을 정말 잘 외우신다고 들었어요. 아, 반은 맞고 반은 틀려요. 제가 잘 외우도록 대본을 쓰는 거예요. 제가 평소 쓰는 말투와 자주 하는 생각의 ... ...
[특집] 테라·루나 왜 폭락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외부 거래소에서 지금 테라가 얼마인지, 루나가 얼마인지 같은 데이터를 가져와 기록할
순
없죠. 근데 테라는 시장 가격이 얼마인지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연동돼야 루나와 공급량 조절을 할 수 있잖아요. 이때 오라클이라는 소프트웨어가 거래소 가격 데이터를 가져와서 블록체인에 입력해 ... ...
[특집] 코인, 어떤 게 살아남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테라와 루나가 무너지면서 코인 전체에 대한 신뢰도 흔들리고 있다. 미래 기술로 주목받던 암호화폐 기술에 왜 이런 불신이 생겼을까. 최초의 코인은 ‘비트코인’이다. 20 ... 가상자산 시장은 도박”이라며 “신기술이니까, 블록체인이니까 도박이어도 괜찮다고 할
순
없다”고 말했다 ... ...
2023년 알림... 비밀번호 없는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추가 관리가 필요한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비밀번호 없이 로그인하는 방법을 만들
순
없을까요? 대다수 사람들이 생체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을 가지면서 ‘로그인할 때 휴대용 기기의 생체 인증을 이용해보자’라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여기서 출발한 게 파이도 ... ...
[특집] 종이 접기가 멋진 이유?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6호
말하는 바람에 나는 발끈했어.“넌... 종이잖아! 고작 종이가 강철로봇보다 멋질
순
없어! 증명해 봐!” 가위 없이 절반으로! 종이접기가 멋진 이유는 가위나 칼처럼 자르는 도구 없이도 종이의 넓이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거예요. 먼저 한 변의 길이가 20cm인 정사각형 색종이를 준비해요.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센타우리를 도는 다른 외계행성의 극한환경에서도 사는 생명체가 있다는 상상을 해볼
순
있다”고 말했습니다. 2월 11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물리천문학과 제이 파리히 교수팀은 지구에서 약 117광년 떨어진 백색왜성 ‘WD1054-226’의 거주 가능 영역을 도는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될만한 내용을 추출해 재배치하는 거예요. 최대한 오염되지 않은 경로로, 신뢰도가 높은
순
서로.”“검색 결과를 연속 검증하는 프로그램도 추가하기로 해요. 스캐너가 그림의 뿌리를 무작정 파헤쳐 나갔다면 우리는 그걸 추리고 솎아내야죠.”“홀로그램 자막과 수어 화면 비율을 정하고 실시간 ... ...
[기획] 98.1% 사용후핵연료 포화 직전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앞으로 중간저장시설 부지와 심지층처분 부지를 선정할 때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걸 단
순
히 ‘님비(NIMBY)’현상의 일종으로 받아들이기엔 문제가 복잡하다. 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과 교수는 “시민들이 위험을 인식하는 데에는 두 가지 요소가 크게 작용한다”며 “한 가지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