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수
못
pond
금담
늪
연지
소택
d라이브러리
"
연못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대응하고 있는 예가 있냐”는 질문을 했다. 정 교수는 “생태공원을 만들거나
연못
등을 만들면 여름에 열섬 현상을 줄일 수 있다”며 “인천 송도나 청라지구에도 인공 하천이 도심을 흘러가도록 해 폭염을 줄일 수 있었다”는 예를 들었다. 물론 녹화사업을 명목으로 산에 등산로나 생태공원,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대한 말도 안 되는 복잡한 내용을 토론하면서 시끄러운 오리들이 많이 있는
연못
에서 한참을 떠들었나보다. 어. 시계를 보니, 버스에 돌아갈 시간이 벌써 지났는데 우리를 부른다던 나팔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주위엔 아무도 없고.서둘러 주차장을 향해 가기로 했다. 꽤 먼길일 텐데. 서쪽으로 가야 ... ...
미역국으로 말라리아 예방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UC 샌디에이고에서 키우고 있는 녹조류.
연못
이 있는 곳이라면 세계 어디서든 자랄 수 있다.]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 주사 대신 미역국을 먹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UC 샌디에이고 생명과학과 교수진과 샌디에이고 조류생물공학 센터 합동 연구팀은 녹조류(Chlamydomonas reinhardtii)에서 말라리아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금 폴리넬라에서 두 번째로 내공생이 일어나고 있지요. 무척 흥미롭지 않습니까?”
연못
에서 채집을 마치고 다음 채집장소인 일월저수지로 걸어가면서 윤 교수가 이야기한다.[폴리넬라의 현미경 이미지로 안의 녹색 부분이 색소체다. 폴리넬라는 불과 수천만 년 전에 내공생을 통해 광합성 능력을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세월이 흘러도 쉽게 변하지 않았습니다.그 후 많은 학자들이 음향학을 연구했습니다.
연못
에 물결이 퍼지는 것처럼 소리의 파동도 퍼져나간다는 인식을 거쳐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 ...
민물새우 사는 생태
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었던 곳이다. 흔히 생태
연못
이라고도 부르지만 지름이 4~5m, 깊이가 40~50cm 정도로
연못
이라고 부르기에는 규모가 작다. 물론 규모가 큰 둠벙도 없지는 않다.김 실장과 작물보호실 최덕수, 고숙주 박사와 함께 논안에 들어가 봤다. 지름이 7~8m 정도 되는 원형 모양의 웅덩이가 나타났다. 겨울이지만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정원.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기분이 상쾌해진다는 뜻의 정자 세연정을 중심으로 작은
연못
회수담을 만들었다.][➋ 함평에 있는 가장 오래된 돌다리. 700년 전 고려말에 지어졌으며 화강석을 다듬지 않고 만들어 간결하고 투박한 인상을 준다. 왼쪽 부분(20.1m)이 원래 돌다리이다.➌ 부안 구암리에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마실 때 벌칙을 주기 위해 만든 놀이 도구’란 뜻이지요. 1975년 경주 안압지가 발굴될 때
연못
안에서 나무로 만든 주령구가 발견됐어요. 보통 주사위가 정육면체인 반면, 주령구는 육각형 8개와 사각형 6개로 총 14개의 면을 가진 독특한 모양이에요. 주령구에는 한자로‘소리 없이 춤추기’,‘여러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회색빛 현대도시에 녹색 옷을 입혔다.▲자연이 만든 럭셔리 집 | 인도네시아 발리
연못
과 잘 가꾼 뜰이 매혹적이다. 일 년 내내 꽃이 피고 여름 기후를 유지하는 남국의 별천지로 평가받는 발리의 리조트. 언제나 따뜻하고 깨끗한 여름을 만끽할 수 있다.▲바닷가 불모지에 조성된 숲속 안식처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즉 산소가 풍부한 조건에서는 유기물질이 쉽게 분해되기 때문이다.다윈의 ‘따뜻한 작은
연못
가설’1930년 미국 오클랜드에서 태어난 스탠리 밀러는 캘리포니아대(버클리)에서 화학을 공부한 뒤 1951년 미국 시카고대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의 지도교수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를 발견해 1934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