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체"(으)로 총 7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NeMo-Net’이라는 게임을 만들었어요. 시민과학자가 해저를 가상으로 여행하면서 유체렌즈로 찍은 고화질 이미지와 비교해 저화질의 이미지 중 산호를 식별하고 분류하는 게임이에요. 인공지능이 시민과학자의 도움을 받아 산호를 식별하는 훈련을 반복하면, 훗날 위성 등이 찍은 저화질의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Q 똥 연구만의 매력은?똥과 오줌은 아주 훌륭한 연구 주제예요. 동물과 관련한 유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누구나 아주 재미있어 하죠. 실제로 모든 연구 과정이 무척 즐거워서 주변인들이 너도나도 참여하고 싶어한답니다. 똥을 연구하기 전에는 가족이 제 연구에 조금도 관심이 없었어요. ... ...
- [DJ 맹추의 수담수담] 수학을 빛낸 신스틸러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작은 소용돌이들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소용돌이의 성질을 분석하면 유체의 운동도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했죠. 이런 생각을 토대로 소용돌이에 관한 몇 가지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에 영감을 받은 톰슨이 원자가 특정한 모양과 고리의 수를 지닌 소용돌이로 이뤄졌다는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땀이 날 땐 표면장력이 발생해 마찰력이 커지지만,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오히려 유체 점성력(viscous force)이 약해지며 마찰력이 다시 줄어든다.윤 교수는 “로봇손에서 분사하는 최적의 수분량을 계산해야 물건을 더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팀은 수분량에 따른 마찰력의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작용할 때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하나의 힘이랍니다.가상경계법은 흐르는 물질, 즉 유체가 움직이면서 경계가 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수학적 기법이에요. 우리 집은 탄성이 있는 밀랍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경계가 변할 수 있어요. 이처럼 경계가 움직일 때는 가상경계법을 사용해 합력을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확대부에서 유동박리(물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계속 커지면서 물체 표면에서 유체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가 발생해 정확한 추력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우리 연구팀은 킥모터가 실제로 작동하는 환경에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러시아의 자문을 받아 고공환경 모사시험 설비를 2007년 7월 ... ...
- [원주율] 수학에서만 쓰이냐고? NO! 모든 길은 원주율로 통한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할 때만 원주율을 쓴다고 생각했나요? 저, 원주율은 수학을 도구로 쓰는 대부분의 학문에 등장해요. 간단한 물리 현상부터 진자 운동이나 양자 역학의 불확정성 원리, 유체역학, 전자기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죠.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 날아온 운석으로 알아낸 화성 나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일어났다고 추정했다.하지만 이번에 연구팀이 원시행성 형성 당시의 소행성 충돌 상황을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화성에 최대 지름 1930km의 소행성 1~3개가 느지막이 충돌하면서 최종적으로 화성이 1500만 년에 걸쳐 원시행성이 된 것으로 계산됐다. 연구를 주도한 시모네 마르키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Sheet System Model)을 사용해 예측하죠. 빙하는 고체이지만, 모형화를 위해서 점도가 매우 큰 유체라고 생각합니다. 점성이 높아 물처럼 마구 섞이지 않고 일정한 모양의 흐름을 갖죠. 그래서 액체나 기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과 유사하지만, 마구 섞이도록 하는 힘은 고려하지 않는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기본형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이야. 비선형 방정식으로 뉴턴 제2법칙(F=ma)의 유체역학 버전이라고 볼 수 있지. 하지만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정확한 해를 찾는 방법은 아직 아무도 몰라. 이 방정식의 근사해를 찾는 방법이 많이 나와 있긴 하지만, 시공간적 정확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