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태
외형
모양
형상
골자
개요
주위
d라이브러리
"
윤곽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대받지 못한 손님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수학탐정 : 류숭범 씨의 말에 일리가 있습니다. 이미 초대받지 않은 한 분이 누군지 는
윤곽
이 나왔습니다. 제가 수학탐정이니만큼 알아보기 쉽게 벤 다이어그램이라는 그림을 통해 한 명의 불청객을 밝혀 보겠습니다. 수학탐정 : 자~, 원이 겹치는 부분에 이름이 있는 분들은 용의 선상에서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다르다”는 점을 밝히고 싶었다.이 교수는 미인상의 수치를 활용해 세계 최초로 ‘안면
윤곽
균형 각도 분석 프로그램(BAPA)’을 만들었다. 이 프로그램에 자기의 출신지, 성별 등과 정면사진을 입력하면 얼굴 부위마다 높이와 넓이, 각도의 비율이 미인상과 얼마나 다른지 수치로 나온다. 그는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현대가 공존하는 도시다. 2000년 전 고대 도시지만 아직까지 현대 로마 곳곳에 흔적과
윤곽
이 뚜렷해 디지털 복원이 상당히 수월하다. 이에 비해 부여에선 1400년의 흔적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상가, 아파트, 도로 등 각종 현대 건축물만이 옛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복원을 진행하기 위한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전혀 다른 두 사람 얼굴이 섞인 듯 좌우비대칭이 심했다. 약간 옆으로 치우친 얼굴
윤곽
과 달리 이마 위쪽과 가르마가 정면을 향하고 있는 자세도 자연스럽지 않았다.조 교수는 “비교적 앞에 나와 있는 쪽의 눈이 반대편 눈보다 짧은데다 더 깊숙이 들어가 있다”며 “서양화가들이 중시한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관측하기에 유리했다. 실제로 전파로 관측한 중성수소의 분포로부터 멀리 있는 나선팔의
윤곽
을 얻었고 가시광선 자료와 결합해 나선팔의 전체적인 모양과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큰 나선팔, 막대에서 뻗어 나와가시광선과 전파 관측으로 우리 은하가 몇 개의 나선팔을 갖고 있으며 이들 나선팔이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적도에 해당하는 긴 지름과 극과 극을 연결하는 중앙경선의 비를 2:1로 한 타원으로 지구
윤곽
을 그린 뒤 일정한 간격으로 경선을 타원형 곡선으로 그려.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곡선의 휜 정도가 커지겠지. 이렇게 해서 지도를 그리면 면적의 비율이 비교적 정확한 지도를 만들 수 있어.▼관련기사를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있지.물구나무 선 공룡?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는 총 105개의 용각류의 발자국이 발굴됐어.
윤곽
이 둥근 모양으로 발자국 안에 솟아오른 부분이 별 모양으로 나타났지. 특이하게도 이들은 모두 앞발자국으로 뒷발자국은 하나도 없었어. 몸집 큰 네 발 공룡이 앞발로만 걷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비율로 지도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유클리드 기하학이 이용됐습니다.지도의 전체적인
윤곽
을 잡기 위해서는 전국 주요 지점의 경도와 위도를 작성한 표를 참고했을 겁니다. 국토의 정보를 담은 김정호 선생의 지리 백과사전에 이 표가 있지요. 이렇게 만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오늘날 인공위성이 ... ...
온실가스 배출 ‘절반의 합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12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2월 19일(현지시각) 폐막했다. 회 ... 이보다 구속력 있는 감축안은 2010년 말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서 열릴 제16차 총회에서나
윤곽
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할 터. 이에 대해 국립환경과학원 바이오안전연구과 김원명 박사는 “멧돼지는 물체의
윤곽
을 간신히 구분할 정도로 시력이 매우 좋지 않은 편”이라며 “멧돼지들이 잎이 채 떨어지지 않은 나무들을 보고 숲이 계속되는 줄 알고 달리다가 산 끝까지 다다른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그렇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