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플루엔자"(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014년 권장 성인예방접종 개정안’에서 “우리나라에서도 해마다 3~4월에 B형 인플루엔자 유행이 반복되고 있으며 백신으로 제작된 B형과 실제 유행한 바이러스 사이에 불일치 현상이 있어 4가 백신 사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12년 미국을 시작으로 전세계에 4가 백신이 사용되고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례처럼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일이 우리 면역계에는 종종 있다. 사스, 인플루엔자 A, 에볼라등에 감염됐을 때 인간의 면역계는 다량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 등을 내보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터트리거나 자살시킨다. 심하면 호흡기장애나 출혈열로 사람을 죽음으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산업 문제 해결하는 헌터가 떴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렇다면 수학을 어느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메르스나 신종 인플루엔자 같은 전염병은 수학모형을 만들면, 언젠가 같은 바이러스가 돌 때 전염 패턴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날씨를 좀 더 정확하게 예보하거나, CCTV 영상을 고화질로 복원해 범인을 잡을 수도 있지요.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협력하는 합동조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밝혔다. 신종 인플루엔자부터 메르스까지 대규모 전염병 위협이 계속되는 만큼 수학자를 포함한 여러 전문가가 모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전염병에 대응해야 한다 ...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연구원(박사과정)은 작년 4월 플루트를 토대로 우리나라 인플루엔자 확산모델을 만들었다. 황 연구원은 “인구구조와 이동행태에 따라 피해도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새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 ...
- 조류인플루엔자 좇는 초소형 위치추적장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을 붙여서 날려 보내,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경로를 알아내는 연구를 할 예정이에요.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오리들이 어디서부터 날아오는지, 또 언제쯤 우리나라를 떠나 어디로 이동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지요. 배터리가 필요 없는 태양열 충전 방식이라 수년 동안 계속해서 새의 이동경로를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에볼라 바이러스 살균효과는 예상된 결과다. 에볼라처럼 외피막(지질막)을 가진 인플루엔자,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를 빨간약으로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예전부터 증명돼 있었다. 인체에 깊숙이 퍼진 상태가 아닌,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긴 하지만. 손세정제에 빨간약을 섞으면 이런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쟁에서 ‘끝은 없다’고 일축했다.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바이러스는 일정한 주기로 계속해서 출현합니다. 그것도 매번 모습을 바꾸면서요.” 가장 큰 이유는 사람들의 생활 범위가 전 세계로 넓어진 탓이다. 과거에 비해 바이러스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후디아를 이용해 식욕억제제를, 중국에서 향신료로 사용하던 팔각에서 추출한 물질로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했지. 1981년에서 2006년까지 신약의 48%를 자연에서 얻은 물질로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단다. 앞으로 계속 새로운 병이 생길 텐데 다양한 생물이 없다면 알맞은 약을 만들 수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가장 많이 죽인 전염병인플루엔자바이러스2009년 유행한 신종플루와 닮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옮겼다. 스페인 독감에 걸린 사람들은 걸리면 폐렴 증상이 나타나다가 피부가 점점 퍼렇게 썩으면서 죽었다. 1918년 미국 시카고에서 나타나 2년간 5000만 명 이상이 죽었다. 당시 제1차 세계대전으로 죽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