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학생
동공
동자
눈동자
사람
자손
d라이브러리
"
제자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제공했고, 뛰어난 수학자로 성장시켰습니다. 그중 한 명이 제이콥 펠릭스인데, 그의
제자
인 윌링턴 멜로가 아빌라 박사의 스승입니다. [관전 포인트 4] 제2의 에미 뇌터는 누구? 여러분은 여성 수학자라고 하면 누가 떠오르세요? 20세기 최고 수학자인 힐베르트와 물리학자인 앨버트 아인슈타인도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년간 풀리지 않던 5차 방정식 문제를 해결하고, ‘아벨의 정리’를 내놓았다. 또 하디의
제자
로 있던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발견한 내용도 대부분 20대에 찾은 것이다. 이런 사례들 때문일까? 하디는 ‘50세 이후로 새로운 정리를 발견한 걸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정말 50세 이후로 새로운 정리를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0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2018 필즈상 후보로 세드리크 빌라니 교수의
제자
알레시오 피갈리 교수(2018 수학동아 3월호)를 소개했었는데요, 피갈리 교수 역시 이번에 필즈상을 받기에는 몇 퍼센트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전했었습니다. 그런데 듀밀-코핀 교수와 피갈리 교수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구경했다고 한다). 행운을 기회로 만든 과학자 호킹이 지도한 학생 중 한국인
제자
는 없었다. 그러나 그의 연구 인생은 많은 동료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줬다. 물리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의 가장 큰 업적은 블랙홀이 입자를 내놓는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다. 이 내용은 1974년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언 자신의 흥미를 따라가라 이병호 학부장은
제자
이자 후배들에게 “자신의 흥미에 따라서 오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유행이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그저 유행을 따라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다 보면 길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들어가길 원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데니스 시아마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교수의
제자
가 됐다. 당시 그가 관심을 갖던 분야는 ‘우주론’과 ‘기본입자물리학’이었다. 기본입자물리학 분야는 실험과 관찰을 통해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는 반면, 우주론 분야는 아이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정치가로 변신해 화제를 모은 프랑스 수학자이자 필즈상 수상자 세드릭 빌라니 교수의
제자
알레시오 피갈리 교수 입니다. 혹자는 빌라니 교수만큼 지식을 스폰지 처럼 잘 흡수한다고 하는데요, 젊은 나이에 여러 성과를 올린 잘나가는 수학자지만 언제나 겸손하고 성격도 유쾌해 주위에 사람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힐베르트는 문제가 어렵다고 생각해서 23문제 중 하나로 골랐겠지만, 당시 힐베르트의
제자
였던 막스 덴이 곧바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덴은 다면체를 자르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 도형의 성질에 ‘덴 불변량’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 값을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이 값이 다른 다면체가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몰랐다고 합니다. 너무나도 평범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없었던 거지요. 단지 친한 교수의
제자
중 하나로만 여겼답니다. 그랬던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케플러 추측을 풀었다고 들었을 때는 정말 깜짝 놀랐다고 밝혔습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언론 인터뷰를 한 적도 거의 없고, 어린 시절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교신 저자는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인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의
제자
인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였다. 합금반응 선택했더니 에너지밀도 50% up⇧최 교수는 박사과정에서부터 꾸준히 배터리를 연구해왔다. 그의 관심은 여느 배터리 연구자들처럼 배터리 효율을 올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