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도 진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거예요. 심박스도 마찬가지죠. 심박스는 예를 들어 중국에 회사의 지사가 있다고 하면, 중국 지사에서 한국으로 값싸게 전화하기 위해 쓰는 기기예요. 그럼 해외 통신비 대신 한국의 이동통신 통화료만 내고도 인터넷 전화를 활용해 통화할 수 있지요. 과학자가 되어 기술을 개발하면 사회를 ...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2023년 1월까지 햇수로 무려 3년 동안 라니냐 상태였던 건 20세기 이래 처음이다. 지난 4월 중국의 천연자원부 제2해양학연구소의 타오 리엔 교수팀도 올 연말에 슈퍼 엘니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 결과를 국제학술지 ‘오션-랜드-앳모스피어 리서치’에 발표했다. doi: 10.34133/olar.0011 올여름 폭염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적으로 적을 물리친다. 고대 중국의 병법서 ‘손자병법’에 쓰여있는 유명한 전략들이다. 하지만 손자병법에서 가장 좋은 전략으로 꼽는 건 ‘가능한 싸우지 않는 것’이다. 서로의 영역을 존중하면서, 오래 걸리더라도 예기치 못한 ...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따라 들어간 상황실에는 전국의 60곳 넘는 지질연 상시 관측소에서 보내온 데이터와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의 지진 관측소 지진파 데이터가 모이고 있었다. 이 데이터를 취합해 분석하면 한반도 일대의 지진은 물론, 북한이 핵실험을 한 장소와 시간도 알 수 있다. 지진연구센터 상황실이 재난과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전심으로 후원하고 조력하는 역할도 했다. 일례로 역법 공부가 한창이던 세종 13년(1431) 중국어에 능통한 사역원 김간을 명나라로 보내 역법 계산에 필요한 수학 지식을 배워오게 했다. 당시 역법 연구에서 가장 발목을 잡고 있었던 것은 산법 지식이었기 때문이다. 또 역법 연구를 집중적으로 할 수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쌓고 있다. 앞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국제우주정거장은 여전히 정부 주도로 개발하는 중국을 제외하면, 민간 기업에 의해 만들어질 전망이다. 민간 우주정거장 사업을 발표한 기업은 액시엄 스페이스(Axiom Space), 나노랙스(Nanoracks), 블루 오리진(Blue Origin) 등이 있다. 빙빙 도는 우주정거장 만들지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들어가고 있는 물질들의 흔적(부착원반)이 동시에 관측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을 비롯해 중국과학원, 대만 천문학및천체물리학연구소, 독일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M87* 블랙홀의 그림자와 제트를 최초로 동시에 포착해 ‘네이처’ 4월 2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5 ... ...
- [Outro] 절벽 틈에서 인류 문명이 새로이 피어나다, 미래 화성 도시 Nüwa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 있을까, Nüwa 속으로 들어가봤다. *Nüwa(여와)화성 절벽 도시 ‘Nüwa(여와)’는 중국 신화 속 여신 ‘여와’에게서 이름을 따왔다. 신화 속에서 여와는 창조신으로 인간을 만들고, 외부의 재난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했다고 전해진다에서는 여신 대신 절벽의 두터운 암벽이 화성의 극한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013년 12월 달 표면에 착륙한 중국의 창어 3호는 달에서 아주 특별한 사진을 찍었다. 달 탐사선이니 당연히 달 표면의 돌멩이 등을 촬영했을 것 같지만 이 탐사선의 카메라는 달 표면이 아닌 하늘로 향했다. 심지어 태양계를 벗어난 먼 우주에서 날아오는 빛을 담았다. 큰곰자리 방향의 한 천체에서 210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채우면 여기가 한강 뷰 | 거짓말에 넘어가지 말 것 큰 문명은 큰 강 주변에서 탄생한다. 중국 황하 강에서는 황하 문명이, 이집트 나일강에서는 이집트 문명이 꽃을 피웠다. 한국의 수도, 서울이 한강 주변에 자리잡은 것도 우연이 아니다. 하지만 이건 지구 이야기다. 화성에서 “여기에 물을 채우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