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국
천상계
하늘나라
천당
극락
낙원
이상향
d라이브러리
"
천상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달은 신들이 사는
천상
계와 인간이 사는 지상계를 구분짓는 경계였다. 때문에 달은
천상
계의 물건을 닮아 미끈하고 둥글지만, 한편으로는 지상계의 물건을 닮아 표면에 추한 얼룩이 있다고 생각했다.1609년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통해 처음으로 달의 모습을 자세히 보았다. 그의 눈에 비친 달의 모습은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굳이 차세대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피타고라스는 별빛을 두고 ‘
천상
의 음악’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러나 우리가 가시광선으로 보는 밤하늘은 그 끝없이 화려한 오케스트라 음역 가운데 의미없이 단조롭게 삑삑거리는 ‘B 플랫’음에 지나지 않는다.허블망원경은 1천 ... ...
조선 건국의 상징 「
천상
열차분야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그로부터 다시 3백여년이 지난 최근에 대덕 국립중앙과학관과 경주 신라역사과학관에서
천상
열차분야지도를 곱게 복원해 천문도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 ... ...
창고속의 망원경을 밖으로 끌어내자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소개함과 동시에 우리 고대의 천체관측기구인 선기옥형, 28수 1천4백60개의 별이 새겨진
천상
열차분야지도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특히 이 강의는 다른 곳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부 교사들은 시간이 끝나고도 강사를 놓아주지 않는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넷째 시간은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10진법으로 개정돼 가는 데도 현재까지 60진법이 남아 있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천상
에서 지상으로△ ABC의 넓이 S, 각 변의 길이를 a,b,c라 하면 2s=a+b+c 일 때S=$\sqrt{s(s-a) (s-b) (b-c)}$ 의 헤론(Heron)의 공식은 보통 교과서에서는 제 2 cosine 법칙으로 유도된다.${a}^{2}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떠 있는 달도 지구와 같이 추한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상식으로 돼 있던 신성한
천상
계와 추한 지상계의 구분이 이제는 필요없게 된 것이다.이 사실에 입각해서 갈릴레이는 천체가 그 전까지 믿어온 것처럼 완전무결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리고 은하수란 많은 별의 집단이라는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당시에는 고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우주는
천상
계와 지상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천상
계는 완전하고 신성한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갈릴레이는 망원경에 의한 지속적인 태양 관측으로 흑점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태양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으며 뿐만 아니라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천상
계와 지상계로 구분돼 있으며
천상
계는 완전한 것으로 생각했는데, 달의 모습은
천상
계가 완전 무결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그는 이를 토대로 관측을 계속해 은하수 관측, 태양 흑점 관측, 목성의 위성 발견, 금성의 위상 변화 관측 등으로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가서 아이들과 멋진 밤하늘 한번 제대로 보고 오는 사람이 드문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천상
에는 최고의 우주쇼가 펼쳐지는데 지상의 3류쇼 보느라고 정신 없는 경우가 허다 하니까요.사회 이번 행사의 구체적인 성과는 기사로 작성될테니 여기서는 생략하고 앞으로 이 행사가 발전할 수 있는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보고 이들이 별들에 의해 좌우된 것이라는 해석을 내리는 것 대신에 중국인들은
천상
의 변화를 살펴본 후 이 해석에 따라 지구상의 만물이 움직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그렇지만 천랑성은 흰색이었고 그런 견지에서 이별에 어떤 변화는 없었다고 분명하게 지적하는 중국서적들도 있다.이는 별들의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