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골격
체격
몸뚱이
d라이브러리
"
체구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DNA의 광고판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사람의 외형은 머리 속의 뇌나 뱃속의 장기, 또
체구
성세포들과 마찬가지로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10만을 헤아리는 유전자 중에 외부의 형태를 결정짓는 유전자의 수는 극히 적다고 알려져 있다.예컨대 사람의 얼굴을 보면 눈썹은 색깔이 진하거나 흐리고, ... ...
떡갈나무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야행성(夜行性)으로 불빛에 잘 모여든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더듬이가 길지만
체구
는 작다. 성충은 참나무류의 나무껍질을 갉아 먹으며, 애벌레도 살아있는 나무속의 목질부를 씹어먹는 하늘소과의 대표적인 해충이다. 애벌레는 나무속에서 살며 번데기가 되기까지 지역에 따라 3~4년이 걸린다.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아키옵테릭스와 같이 작은 동물은 깃털을 절연물로 사용한 반면 깃털이 없는 공룡들은
체구
를 크게 함으로써 체온을 훨씬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점차 한랭해지는 환경에 새로 적응해 살아남는 방편으로써 점차 몸을 크게 변화시킨 것이다.이밖에도 1977년에 소련에서 발견된 테로사우르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2억8천6백만년에서 2억4천5백만년 전까지)가 끝나고 중생대가 시작될 무렵에 데코돈이란
체구
가 작은 파충류가 나타났다. 아마도 이 데코돈은 파충류의 맨 근원 조상인 코틸로사우루스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데코돈은 몸의 길이가 1m 정도이고 새 처럼 두 발로 걸어 다녔으며 구멍이 뚫린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않았다. 포유류도 중생대 초기부터 생존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개 현생 들쥐 정도의
체구
가 작은 것들뿐이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지층에서 거대한 골격의 화석이나 큰 발자국이 나타나면 고생물학자들은 이를 안심하고 공룡의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남해안 일대에서 발자국 발견그러면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육식동물이 출현한다. 북극늑대의 일종인 알래스카늑대는 회식에 키가 상당히 큰 늘씬한
체구
에 다리와 털이 튼튼해 무섭게 보인다. 이들은 떼를 지어 다니면서 초식동물을 공격하거나 자기보다 작은 육식동물을 잡아 먹는다.북극곰은 동면을 하지 않으며 주로 바다표범을 잡아먹는다. 큰 것은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처럼 한때 무성했던 양치식물이 사라진 것은 기후변동 때문으로 여겨진다. 거대한
체구
의 공룡도 양치식물과 함께 지구 위를 누비다가 멸종했다. 그 당시의 화석을 보면 침엽수와 은행나무 등 건조에 간한 식물들만이 자랐다는 증거가 여기저기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증거들로 미뤄 보아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성공할 수 있었는지 모른다. 꿈도 못꿔본 「발명가의 길」작달막한 키에 다부진
체구
, 마디가 굵은 손가락. 서울생활 20년이 넘었다는 홍씨지만 그를 처음 보았을 때 기자는 얼핏 오랜시간의 노동으로 뼈가 굵은 농부를 연상했다. 충남 예산의 가난한 농가에서 5남1녀의 셋째아들로 태어난 그는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먹을까?① 다른 동물을 유인해 꿀벌의 집을 파헤치게 한뒤 꿀벌의 유충을 잡아 먹는다.②
체구
는 작지만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이 있으므로 벌집을 파헤쳐 유충을 꺼내 먹는다.③ 독특한 향이 나는 자신의 분비물을 벌집 주변에 묻혀 놓은 뒤 꿀벌의 유충을 유인해 잡아 먹는다.(4) 일생의 대부분을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깨닫기 시작했다. 그 선두에는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Grace Muray Hopper)라는 아주 조그만
체구
의 여성 과학자가 버티고 있었다. 호퍼는 에커트모클리사에서 생산한 유니백컴퓨터에 어떻게 하면 보다 나은 프로그래밍 체계를 심어줄까를 연구했다. 그녀의 방식은 사실상 추제와 동일하게 대수학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