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르기
d라이브러리
"
키우기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소를 기르지 않았어요. 그런데 유럽 사람들이 호주로 이주하면서 많은 수의 소를 들여와
키우기
시작했지요. 그러자 곳곳에 널린 소똥에 파리가 몰려들어 심각한 문제가 됐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1965년부터 남아프리카와 유럽의 소똥구리를 들여왔지요. 이 소똥구리들 덕분에 수많은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많은 학생들이 교내과학대회에서 상을 받는 것을 목표로 참여합니다. 수상 내역이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기 때문이죠. 하지만 수상하는 학생이 소수에 불과하다 보니, 수상을 하지 못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교내과학대회는 수상보다는 참여 자체가 더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수분이 너무 많아서 애기뿔소똥구리들이 좋아하지 않았지요. 그래서 넓은 땅에서 소를
키우기
시작했어요. 현재 두 마리의 소가 1500~2000마리의 애기뿔소똥구리가 먹을 수 있는 똥을 생산하고 있답니다. 이강운 소장은 “소 한 마리가 1년에 2.5t의 똥을 싸기 때문에 애기뿔소똥구리의 먹이로 ... ...
교내 대회의 의미와 중요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수 있을지 ‘방향성’을 고려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처음부터 1등을 목표로 부담을
키우기
보다는 1학년 때 장려상을 수상했다면 2, 3학년에 진학해서는 점차 우수상,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식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대회가 끝난 뒤에는 이에 대한 기록을 남겨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증가하면서 거래 속도가 느려져 업데이트가 필수였는데, 채굴꾼들은 블록의 크기를
키우기
를 원했다. 블록이 커지면 기록할 수 있는 거래 내역의 양이 늘어나고 그만큼 거래 수수료가 많아져 채굴에 대한 보상이 커지기 때문이다. 반면 비트코인 개발자들은 블록 크기를 키우면 보안에 영향을 미칠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힘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야구에서도 타자가 순간적으로 배트를 휘두르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키네틱 체인에 신경 써야 한다. 모태범 선수는 연구팀의 영상 분석으로 큰 도움을 받았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뒤 점차 하락세를 걸었던 모 선수는 영상 분석을 통해 체력적인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따라서 현재 국제우주정거장에서는 우주에서 식물을
키우기
위해 인공조명을 이용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가장 좋아하는 붉은색과 푸른색 빛을 주로 쓰지요.앞으로 인류는 2030년에 화성에 가겠단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이를 실현하기 위해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모임(이하 안예모)’이다. 이름만 봐서는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모임으로 보인다. 그런데 최근 이들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이들은 백신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지난 5월 11일, 보건복지부는 안아키 인터넷 카페 운영자 등에 대한 수사 요청서를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야기하는 부분이 있었다. 바로 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대한 것이었다.
키우기
전에 좀 더 심사숙고하고, 한번 키우게 됐다면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키우는 개나 고양이와 달리 사이테스종이나 희귀동물은 정보가 많지 않아 더욱 주의해야 한다.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모든게 본인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는 게 박 교수의 설명이다.반도체 산업에 바로 적용 가능박 교수가 그토록 자랑하는 연구원들이 만든 꿈의 다이오드는 대체 어떤 것일까. 반도체 표면에 금속막을 증착해 만드는 금속/반도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