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감탄
감탄사
유연
회복력
탄성고무
고무
d라이브러리
"
탄성
"(으)로 총 694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고무줄에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
에너지가 쌓이고 고무줄을 놓으면
탄성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뀌어 멀리 날아가지요.고무줄을 총부리에 건 후 방아쇠 위 고리에 걸어요. 고무줄이 늘어났지요? 그리고 과녁을 조준해 방아쇠를 당기면 고무줄이 발사돼요. 미션2. 가속도 센서를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썼던 교구와 중학교 때 쓰는 교구를 비교해 가며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자 교실에서는
탄성
이 흘러나왔습니다. 친구의 대답을 들은 한 학생은 “어떻게 그렇게 생각했지?”라고 혼잣말을 중얼거리며 자신의 생각과 비교해보기도 했습니다. 과묵한 선생님과 수다쟁이 학생들여느 교실과 모습은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넘어 막대기가 부러질 수 있다”며 조심히 다룰 것을 당부했지요. 모든 물체는 각각 다른
탄성
한계를 가져요. 그래서 고무줄과 종이에 같은 크기의 힘을 가하더라도 고무줄은 이전 모습으로 금방 돌아오지만, 종이는 찢어져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오지 못할 수 있는 거랍니다. 최대 규모의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가능한 고무와 같은 실리콘
탄성
중합체를 유전체로 사용합니다. 안압에 따라 실리콘
탄성
중합체의 두께가 변하면서 센서를 누르는 압력이 달라지는데, 이를 정전 용량 값으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들이 복합적으로 결합한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녹내장 해결의 실마리 찾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수 있는 수학적인 방법을 찾았습니다. 카리키노 교수팀은 눈 안쪽의 혈관벽 지름, 두께,
탄성
등을 측정하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혈류 속도와 혈관 변형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이 모형은 선, 점 등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해 혈관을 비롯한 기타 생리학적 구조를 나타냅니다.카리키노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심한 방광의 경우, 접착제도 방광과 함께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어야 해요. 따라서
탄성
을 가진 접착제가 필요한데, 홍합 접착제가 제격이지요. 또한 뼛가루와 접착제를 섞어서 뼈가 부러진 부위에 발라놓으면 뼛가루가 혈액에 쓸려가지 않고 그 자리에 계속 남아 뼈의 재생을 돕기도 한답니다 ...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줄임과 동시에 그 에너지를 추진력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탄성
에너지로 저장했다가 지면으로 방출하는 스프링처럼 말이다. 3개월 태아 때부터 발달해 12세에 완성아치 구조는 수정 후 3개월 된 태아 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이것이 굉장히 빠르다고 여겨질 수 있는데,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먼저 시도한 운동화는 1969년 오니츠카타이거가 출시한 ‘타이거 코르세어’다. 처음으로
탄성
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 쿠션을 발뒤꿈치 부분에 덧대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고자 했다. 이후 중창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가령 나이키는 1979년 출시한 ‘테일윈드’에 처음으로 압축 공기를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지진파를 만들어서 지하로 쏘아보는 ‘
탄성
파 탐사’를 통해 알아내요. 그런데 이처럼
탄성
파 탐사를 통해 수 km 깊이까지 구조를 알려면 폭약을 터뜨려야 하죠. 그래야 큰 지진파가 발생해서 깊은 곳까지 도달하고 반사되어 돌아올 테니까요. 하지만 포항같은 도시에서는 폭약을 터뜨리는 탐사를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사람의 위치에너지가 풍선의 모양을 변형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힘인
탄성
력이 생긴다. 이것이 앉아있던 사람을 밀어낸다. 그 다음은 관성이 작용한다. 관성은 움직이던 물체가 계속 움직이려고 하는 성질이다. 따라서 한 번 튕겨나간 사람은 풍선에서 엉덩이가 떨어진 뒤에도 한참동안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