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신"(으)로 총 3,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뉴스] 공기 중 보이지 않는 통로로 강력한 레이저 전송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매우 떨어진다. 광섬유를 이용하면 이런 문제 없이 먼 곳까지 빛을 전송할 수 있지만, 통신망을 구축하고 유지보수하는 비용 부담이 따른다. 연구팀은 광섬유 없이 빛을 전달하는 방법을 찾고자 2014년 공기 도파관(air waveguide) 기술을 시연했다. 연구팀은 강력한 레이저가 공기와 만나면 플라즈마를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출력(text to image)되는 DALL-E 프로젝트로 멀티모달 AI를 연구하고 있다. 임준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언어지능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언젠가 멀티모달 방식의 거대 AI모델이 나오면 DALL-E에서 시도하지 못하는 형태의 일도 가능해질 수 있다”며 한 개의 그림을 보고 인간과 AI가 그림에 대한 평가를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나무와 버섯의 은밀한 공조 관계 공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자연을 사진 속에 담아내는 청년 생태사진작가.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 입학을 앞두고 있다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mm 이하의 오차로 추적하는 데 성공했죠.크기가 큰 로봇에는 블루투스 같은 무선 통신 장비와 다양한 센서를 실을 수 있지만, 아주 작고 가벼운 로봇에는 적용하기 어려워요. 첨단 위치 추적 시스템이 마련되기 어려운 외부환경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 수준의 장비만 있으면 빛을 내는 반딧불이 ... ...
- [이달의 뉴스] 화성 지진 감지 4년 착륙선 인사이트 임무 종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태양전지판에 먼지가 덮이면서 에너지가 고갈됐을 것으로 추측했다. 인사이트와 마지막 통신이 이뤄진 것은 2022년 12월 15일이었다. 인사이트는 화성의 지진파와 열흐름을 측정해 화성의 내부를 탐사하고, 나아가 태양계의 행성 형성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2018년 5월 5일 미국 ...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신호를 이용한 통신)이다. 미국인 새뮤얼 모스가 19세기 중반에 개발한 전신은 장거리 통신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비약적으로 단축시켰다. 이와 동시에 짧고 건조한 영어 문체가 확산되고, 전신을 받은 사람이 정서적 불안감을 느끼는 등 예상치 못한 변화들도 따라왔다. 당시 전신을 보내는 거리와, ... ...
- [DATA MATH] 웬디 카드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소행성.소행성은 공중에서 산산이 조각나며 운석우를 내렸다.도로와 건물이 파손되고 통신, 전기도 끊겨버렸다.곧이어 뉴스 속보가 이어졌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에 접근하기까지 16시간 남았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 시간, 소행성을 막을 방법은 단 한 가지.우주선을 날려 소행성을 정확히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관측과 예보도 대단히 중요하다. 프랑스 회사인 미라틀라스는 지구 대기의 상태가 통신에 끼치는 영향을 관측하고 예측하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회사다. 대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를 만들고 분석한다. 대기 난류를 측정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일기예보 기술과도 비슷하다. 이러한 기술에 ... ...
- [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별명이다. 얽힘과 중첩, 불확정성과 비가역성까지, 양자의 네 가지 성질 덕에 양자암호통신을 해킹하기란 불가능하단 의미에서 붙었다. 양자상태를 보내는 양자전송은 흔히 ‘양자의 순간이동’이라고도 불린다. 양자가 뭐길래 이런 거창한 별명이 붙는 것인지 그 원리를 뜯어봤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