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회"(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부터 마음 건강 지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지금부터 소개할게! 디지털 미디어는 우리에게 행복만 줄까?2017년 영국 왕립공중보건학회에서 14~24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는 사람들의 행복감을 감소시킨다고 해요.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요?뇌과학자들은 흥미로운 가설 ... ...
- [냠냠! 어수잼] 가지가 쑥쑥! 지식의 나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내게 동생이 생겼어. 아주 조그맣고 사랑스러운 강아지, ‘해피’야. 해피는 어떤 성격일까? 뭘 좋아할까? 해피에 대한 모든 걸 알고 싶어. 그래서 오늘 난 ‘지식의 숲’으로 가려고 해! 나와 함께 가지 않을래?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냠냠! 어수잼] 가지 ... ...
- [기획] 가지각색 전 세계의 생일 축하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식물을 전시한다. 브르노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는 각각 7월과 3월 유전학자들이 모여 학회를 개최했다. 멘델 탄생 200주년 기념비멘델 탄생 200주년을 맞아 재건축 중인 멘델 광장의 기념비. 완두콩과 유전법칙을 형상화했으며, 기념비 제작에 큰 기여를 한 사람들의 DNA가 기념비 내부에 보관될 ... ...
- [기획] 사람이 부른 빗물 사람이 막은 빗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이곳은 지난 8월의 강남역 일대입니다. 서울에서 물난리가 난 2011년 이후, 11년 만에 또다시 대규모 침수가 발생한 거죠. 자꾸만 물에 빠지는 도시,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사람이 부른 빗물 사람이 막은 빗길Part1. [기획] 지구 덮친 폭우 자연재해 아닌 인재였 ... ...
- [기획] 지구 덮친 폭우 자연재해 아닌 인재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예상될 때 내리는 기상 발령. ●인터뷰권원태(전 국립기상연구소장, 한국기후변화학회 고문)“지구온난화로 인해 더 심한, 더 잦은 재해가 발생할 것” Q이번 폭우는 기후변화 때문인가요? 단 하나의 집중호우 사례를 기후위기라고 바로 단정 짓기는 어려워요. 하지만 추세나 통계를 ...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문제는 언제부터 풀기 시작했어요? 니먼 : 저와 밀먼 교수는 석·박사 시절부터 여러 학회에서 만나 서로 알고 있었어요. 그러다 2017년 제가 밀먼 교수가 있는 테크니온이스라엘공과대에 방문했는데 그때 우리 모두 둘레의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최대인 도형을 찾는 ‘등주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9가 영향을 미쳐 이번 GSA에 많은 사람이 참석하진 못했습니다. 이런 힘든 상황 속에서도 학회를 열기 위해 노력한 많은 수학자 덕분에 GSA 전통을 계속 이어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코넬대, 일본 도쿄대 우주물리수학연구소(IPMU)에서 연구했으며 2010년 일본 소립자물리학회가 수여하는 젊은 이론입자 물리학자 상을 받았다. 우주선과 암흑물질, 초기 우주의 힉스 인플레이션을 연구하며, 궁극의 물리학 이론을 찾고 있다. sc.park@yonsei.ac ...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과학자와 음악, 미술, 영화계에 종사하는 예술가가 협업한 사례를 발표하는 자리예요. 학회에서 선보인 뇌파 작곡 AI는 신선한 시도라며 참여자들에게 호평을 받았지요. 인터뷰 뇌과학자와 작곡가의 만남! 뇌과학 연구원과 작곡가는 왜 이런 AI를 만들게 됐을까요? 독일에 사는 이용범 작곡가와 ... ...
- [가상 인터뷰] 금붕어도 사람처럼 거리 계산한다고?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제 친구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가 영국왕립학회 생명과학 학술지인 ‘영국왕립학회보 B’ 10월 12일 자에 실렸어요. Q. 시보 연구원이 어떻게 실험했나요? 일단 커다란 빈 수조를 준비한 뒤, 바닥과 벽에 폭이 각 2cm인 세로 줄무늬를 흰색과 검은색이 반복되도록 그려 넣었어요. 그런 뒤 9마리의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