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떼"(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필요할 때 쓰지 못할 수도 있다. 마치 모든 힘을 토끼에 쏟은 사자가 통통한 물소 떼를 넋 놓고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사람에게도 MP가 있다. 포근한 이불의 유혹을 물리치고 밖으로 나오게 하고, 시험공부를 위해 도서관으로 발걸음을 옮기게 하며, 다이어트를 위해 치킨을 뿌리치게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따라서 기술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농축 우라늄만 있으면 ... 2~3개의 중성자를 내놓는다. 만약 주변에 충분한 양(임계질량)의 우라늄-235가 있으면, 중성자들이 ... 만약 임계질량 이하의 우라늄 두 덩이를 따로 떼 두었다가 합치면, 임계질량에 도달해 폭탄을 ... ...
- [화보] 하늘에서 내려다본 세상 드론스타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아름다움을 볼 수 있죠.또 드론스타그램에서는 한 해 동안 올라온 사진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상을 ... 요즘은 드론이 사람의 눈을 대신해 주기도 한답니다. 드론에 카메라를 달면 150m 정도의 ... 섬에서 여유롭게스노클링을 하던 중에 상어떼를 만난 거예요. 물 밖에서 드론을 날리고 있던 친구가 ...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찾기 위해 아주 먼 남극까지 왔어. 여기 사는 한 친구가 어렸을 때부터 아주 기가 막히게 소리를 구별한다는 소문을 들었거든. 그게 누구냐고? 바로 남극물개! 남극 해안가에 가면 떼를 지어 살고 있는 남극물개를 볼 수 있다고 해서 왔는데…. 남극물개야~, 어디에 있니? 나의 지구정복을 좀 도와 주지 ...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해안가에 왔는데….“다그닥 다그닥….”어머! 이게 무슨 소리야? 헉! 이상한 생물체가 떼를 지어 해안가로 기어나오고 있잖아? 외계인처럼 생겼어! 특…, 특종이다 특종!외계인이 나타났다!일단 생김새부터 좀 살펴봐야겠어. 무시무시한 갑옷을 입고 뾰족한 꼬리를 치켜 세우고 있군. 가만, 눈도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멋진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지. 다양한 드론들을 만나러 함께 가 보자! 벌처럼 무리지어 나는 드론 떼‘빠라밤~ 빠라밤~♪’ 무대에 ... 물결무늬 비행을 뽐내기도 해요.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현철 박사 연구팀은 벌이나 새처럼 떼를 지어 나는 군집 드론 비행 기술을 개발했어요. 컴퓨터 프로그램에 ...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종일 돌아다녀도 친구 하나 만나기 어려워. 이제 혼자 있는 것은 지긋지긋한데, 무슨 방법이 없을까? 나 좀 도와 줘~!도심에 판다 떼가 나타났다!“판다다! 판다가 나타났다!”5월 24일, 서울시청 앞 잔디광장에 수백 마리가 넘는 판다 인형이 등장했어요. 녹색 잔디 위에 펼쳐진 놀라운 광경에 바쁘게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하는 모든 현상이 교과서처럼 나타났어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의 신진수 ... 현상, 진짜일까?Q 지진 전에 동물이 이상한 행동을 보이나요?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여러 ... 심해어가 해수면까지 올라온다거나, 두꺼비 떼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처럼 말이에요. 진흙 속에 사는 메기와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군집드론, 거리와 각도로 새떼처럼 날다최근 미국 해군은 여러 대의 드론을 한번에 투입하는 군집드론 시스템 ... ‘선도추종’ 기법을 썼습니다. 새떼의 편대 비행을 모방한 방식이죠. 리더 드론과 자기 자신의 상대적 거리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움직입니다. 이 밖에도 리더 드론 없이 무게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물속 시야가 유난히 뿌얬다. 최 연구원은 “다양한 바다 생물의 산란철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수면 근처에서 막 부화한 새끼 물고기 떼를 쉽게 볼 수 있었다.최 연구원은 “산호는 해양동물들의 아파트”라며 “물 속에서 산호를 부수거나 물 밖으로 갖고 올라와선 안 된다”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