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e
roma
롬
어린이과학동아
"
로마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리포터 - 210809 - 1
탐사기록
l
20210809
제주도 그리스
로마
신화 박물관 4시 10~5시 42 총 1시간 32분 ...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양치를 했을까?
기사
l
20210809
당연히 이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과 다른 방법으로 양치를 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계란이나 굴 껍데기를 갈아 이를 닦았고 고대
로마
에서는 오줌으로 이를 닦았다고 합니다. 이때는 칫솔이 없었기 때문에 손가락을 이용해 닦았지 않았을까 라고 추측을 해본다고 합니다. 이 후 시간이 흘러 그럴듯한 칫솔의 모양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동물 ...
꽃과 관련된 이야기 알아보기
기사
l
20210809
자라는 어마어마하게 큰 꽃 입니다. 꽃이 피는 시기는 8~9월 입니다. 9지금쯤 이네요)해바라기의 꽃말은 기다림, 애모입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한 요정이 아폴론이라는 제우스의 아들이자 태양의 신인 아폴론(아폴로 아닙니다!)을 보고 그 모습이 너무나도 아름다워 계속 보고 있다가 아폴론 신이 거들떠 봐 주지도 않자 슬퍼하며 그 자리에 가만히 ...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고대 7대 불가사의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10808
대 불가사의 중 고대 7대 불가사의를 알아볼까요? 고대 불가사의는 기원전 330년경 그리스 여행자들을 관광 대상이 된 건축물들로 대개
로마
시대의 필론이라는 사람이라는 말한 7개의 건축 및 예술 작품을 말합니다. 그럼세계 7대 불가사의 중 고대 7대 불가사의를 볼까요? 출처: 1boon- 실시간 최신길 보기- 카카오 이것은 고대 7대 불가사의 ...
세상에! 이런 식물들이 있다니!
기사
l
20210806
향이 난다는 특징이 있어요. 7.시들면 해골이 되는 금어초(해골 꽃)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526500241 금어초는
로마
시대부터 재배되어온 꽃이에요. 영국에서는 용의 입과 닮았다고 해서 '스냅드래곤'이라고도 불러요. 우리나라에서는 화려한 색깔의 헤엄치는 금 ...
철학이 꼭 필요한 이유
포스팅
l
20210720
왜 필요할까 지금 내 말이 철학이다. 철학은 "왜"라는 단어가 들어가도 몽땅 철학이고 즉,생각만 해도 철학이다.철학은
로마
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즉 우리가 태어나기 전 몇백년 전에 철학이 있었던 것이다.여러분이 지금 과자를 먹고싶은가? 그건 별로 철학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꼭 필수가 있다. "호기심과 생각력 그리고 왜"왜!그런가왜!전쟁 ...
구미호 3화
포스팅
l
20210720
.. "무슨 일 있어요?헷" 포시케 언니가 돌아왔다! "포...포시케!도....돌아왔구나~" "예?예...." "새
로마
님!! 와주세요!!" 세
로마
님은 우리 보건 선생님이다. "흠...이것은 순간이동 같군요...." "수....순간이동...." "포시케 언니....." "울페스 ...
나폴리탄 괴담
포스팅
l
20210719
것 입니다. 지침서 내용 외의 알 수 없는 일을 겪는다면 시간, 날짜 상관없이
로마
군내에 존재하는 지침서관리부로 찾아와주십시오.
로마
군은 신병여러분의 용맹한 선택에 찬사를 보내며, 마르스의 영광이 함께하길 바라겠습니다. 시저께 영광을!(ㅊㅊ:https://kimsogen.postype.com/post/5028107 ... ...
음력과 양력의 과학적 비교
기사
l
20210712
시작되는 날입니다. 또한 7월과 8월은 연속으로 31일씩인가 하면, 2월은 평년인 경우 28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7월과 8월이 31일인 것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출생 월을 하루라도 더 길게 기념하기 위해서 생긴 전통 때문이라고 하니, 이것이야말로 비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연의 어느 것이 새로 생겨나거나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는 날 ...
2월의 북소리: 전쟁은 어떻게 과학을 이용했는가?(늦어서 죄송합니다.)
기사
l
20210617
마지막까지 도형을 연구하다 죽었다고 알려져있는데요. 처음에는
로마
에서 아르키메데스를 데려가려고 했지만 도형을 연구하다가
로마
병사에게 목숨을 잃었습니다. 2번째, 레오나르도 다빈치. 우리에겐 잘 알려진 화가죠. 하지만 훌륭한 엔지니어이기도 합니다. 이 사실은 많이들 알고 있죠. 비행장치와 기관총 그리고 잠수복까지 고안해낸 말 그대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