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온 30도에도 살아남는 물고기,
개체
수도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5.11
등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그 결과
개체
수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개체
수 증가는 펍피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으로 꼽힌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최근 데블스 홀 주변 사막에 거대한 태양광 발전소가 들어서면서 물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며 ... ...
인사하는 코끼리, 상대가 보지 않으면 소리 내고 '툭' 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 코끼리는 사회적 동물로
개체
들끼리 헤어졌다가 다시 만날 때 종종 인사를 한다. 이때 코끼리는 다양한 몸짓을 하고 소리를 내지만 이것이 의도적인지는 불분명했다. 코끼리가 인사할 때 발성과 몸짓을 어떻게 결합하는지도 거의 밝혀지지 ... ...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또다른 유전인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갖고 있다는 의미다. 동형접합체는 특정 형질을 나타내는 대립유전자가 서로 같은
개체
를 의미한다. APOE4 동형접합체를 갖고 있다는 것은 APOE라는 유전자를 물려받을 때 엄마와 아빠에게서 똑같이 APOE 변이인 APOE4를 물려받았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미국국립알츠하이머조정센터의 뇌 기증자 329 ... ...
식물 즙 발라 스스로 상처 치료하는 오랑우탄 첫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상처를 치료하는 영상. Isabelle Laumer 제공 라쿠스의 치료 행위는 오랑우탄의 특성이 아닌
개체
의 특별한 행동이라는 분석이다. 연구 현장에 사는 오랑우탄들은 약으로 쓰인 식물을 거의 먹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식물을 먹다가 실수로 상처를 만져서 식물의 즙을 상처에 발랐고, 즉각적인 진통 ... ...
'인플루언서· 인싸' 되는 유전자, 초파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붙였다. 연구팀이
개체
의 dokb 유전자의 발현을 의도적으로 줄이자 초파리 사이에서 해당
개체
의 관계 중심성이 감소했다. 연구팀은 "dokb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는 것은 집단행동의 진화 과정을 조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며 "dokb 유전자가 관여하는 분자나 세포의 회로가 초파리가 아닌 다른 동물 ... ...
"수컷 쥐 장내미생물 불균형, 자손 성장 부진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위해 6주 동안 수컷 생쥐에게 항생제를 투여했다. 이를 통해 장내미생물의 다양성과
개체
수를 줄였다. 이렇게 처리한 수컷 생쥐를 다시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항생제 투여를 중단해 장내미생물 구성을 이전과 같이 회복시켰다. 연구팀은 이어 각 그룹의 생쥐들을 암컷 생쥐에 짝짓기를 ... ...
"메갈로돈 닮은 고대 상어, 바다거북도 잡아먹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7
이빨로 깨서 잡아먹었을 거라 생각했다. 연구팀이 연구한
개체
는 3m 미만의 작은
개체
지만 치아 크기를 통해 일부 프티코두스의 길이가 약 9.7m에 달했다고 추정했다. 백상아리 길이의 약 두 배다. 암컷은 더 길었으며 4.6~4.9m 사이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프티코두스가 멸종한 이유에 대한 힌트를 ... ...
실제 심장 같은 인공장기 나왔다…미세환경 구현해 임상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및 생리적 기능을 구현해 2차원으로 배양된 세포 모델보다 장점이 많다. 하지만 아직
개체
간 크기·기능 편차가 크고 분화도, 성숙도, 기능성 등에서 실제 심장 수준에 못 미친다. 심장 오가노이드의 약물 평가나 조직 재생 효과를 보장할 수 없어 아직 응용에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심장의 ... ...
노래하는 새마다 타고나는 '리듬과 템포'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않고 선천적으로 내는 종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두 종의 교잡종까지 포함해 총 135
개체
의 팅커새 유전자를 분석하고 어떤 유전자가 팅커새 노랫소리의 리듬과 템포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했다. 연구 결과 인간의 언어 장애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뉴렉신-1'과 '코엔자임 Q8A' 유전자가 ... ...
가장 즐겨먹는 커피종 '아라비카' 기원 규명됐다
2024.04.21
재배 중인 아라비카 나무의
개체
수는 1~5만개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라비카는
개체
수가 적어 유전적 다양성이 낮으며 해충과 질병에 취약하기 때문에 병원균이 적고 기후 조건이 맞는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될 수 있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다는 것은 특정 병원균으로 완전히 멸종될 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