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단함
굳음
견실
견실함
건전
경도
뉴스
"
견고
"(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상태 그대로 세포 촬영하는 기술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단일층 그래핀으로 덮었다. 단일층 그래핀은 물 분자조차 새어 나올 수 없을 만큼
견고
한 구조로 상온에서 물 증기압도 거뜬히 버티도록 설계됐다. SIMS로 세포를 분석할 때 초고진공 환경에 놓인다는 점을 고려해 세포가 이를 견딜 수 있게 한 것이다. 연구팀이 이렇게 만든 세포 시료를 SIMS ... ...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양극재를 만들면 충·방전으로 금이 가도 길쭉한 조각으로 쪼개진다. 장작처럼 구조가
견고
하기 때문에 기존의 양극재보다 용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결국 같은 성분의 양극재도 농도구배형으로 만들면 용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선 교수는 2005년 1세대 농도구배형 양극재를 ... ...
'강하고 전기 잘 통하는 입체 그래핀 제조'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종의 ‘풀(접착제)’을 이용해 그래핀 평면을
견고
하게 붙이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떠올린 접착제는 홍합 접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구조 연결 물질인 '카테콜아민'이다. 류 교수는 전화 통화에서 "카테콜아민은 그 자체로도 강한 접착제지만, 구조가 ... ...
코로나19 백신 콜드체인을 확보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콜드체인) 유통 기술의 중요성이 커진다. 특별히 첨단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견고
한 냉장고와 빛이 들어가지 않는 밀폐 시약병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온도에 민감하다 보니 온도를 유지시켜줄 모니터링 기술도 중요하다. 백신 바이얼 모니터(VVM)라는 기술을 이용해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 ...
삼성디스플레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휘어진 폴더블 OLED 내놔
연합뉴스
l
2020.09.16
화면이 크면서도 커버윈도우로 초박형유리(UTG)를 사용해 투명폴리이미드 대비 한층
견고
하고 높은 심미적 완성도를 구현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특히 접히는 부분의 곡률을 1.4R까지 낮추면서 매끈하고 슬림한 폴더블 스마트폰 디자인을 가능하게 했다. 이 제품은 삼성전자가 최근 공개한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연구원은 “특히 나비의 날개는 울트라블랙을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얇고
견고
하다”며 “나비의 날개를 모방해 신소재를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나비 날개의 미세구조는 수직으로 나란한 나노튜브 배열(Vertically aligned nanotube array), 즉 나노튜브 여러 개가 수직으로 ... ...
'하루 1000명 이상 확진자 나올 수 있다'는 수리모델이 경고한 최악 시나리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완화가 수도권 지역에서 두 번째 물결을 촉진했음을 볼 수 있다”며 “강력한 조치와
견고
한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 접촉자 추적이 추가적인 파도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 ...
45년 전통 엔진 회사 대표가 65년 역사의 청계천 주물공장을 찾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8.22
이런 전문성을 바탕으로 제조 각 단계 별 부품을 만들고 이들을 서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견고
한 산업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베타시티센터 제공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안채원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도시연구및계획학과 연구원은 6월 18일 개최한 세운 글로벌 포럼 '로컬-리콜' 오프닝 행사에서 ... ...
DNA 구조 밝힌 왓슨과 크릭도 '다면체' 애용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정삼각형 20개가 모여 만든 다면체다. 단백질이 결합해 면을 만들려면 삼각형이
견고
하고 면과 면이 이루는 각이 클수록 입체가 단단해지기 때문이다. 이는 바이러스를 이루는 단백질의 모양이 실제 삼각형인 것이 1962년 알려지며 사실로 확인됐다. 과학에서부터 인문학, 예술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실험결과에 의해 쉽게 무너지지 않으며 오히려 그 검증의 도전을 극복하고 나면 훨씬 더
견고
한 체계를 구축하게 됨을 잘 보여준다. 해왕성의 성공사례는 그대로 20세기 초 명왕성의 발견으로까지 이어졌다. 명왕성은 2006년 왜소행성으로 분류돼 행성의 지위가 박탈되었다. 이런 사례를 염두에 두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